나흘새 3차례나 靑 찾아…영빈관·상춘재서 외빈 접견
베트남 국가주석·축구대표팀 만찬 장소로 낙점
국격 걸맞는 행사장 여의치 않아 기존시설 활용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 방한 국빈만찬에서 만찬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취임 후 첫 국빈으로 맞은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과 지난 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빈 만찬을 했다. 이어 다음날에는 청와대 내 전통 한옥은 상춘재에서 푹 주석과 차담을 가졌고, 8일에는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에 진출한 축구대표팀을 불러 환영 만찬을 했다.
2층 구조의 석조 건물인 영빈관은 이전 정부까지 국빈 만찬과 연회, 대통령 주재 회의 등 공식 행사장으로 자주 사용됐다.
푹 주석과의 국빈 만찬은 지난 5월 10일 윤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일반에 전면 개방된 청와대 시설이 대통령실 행사에 활용된 첫 행사였다. 영빈관 행사 자체는 전임 문재인 정부 때인 작년 12월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국빈 만찬 이후 약 1년 만이다.
이번 행사를 치러본 경험을 토대로 국격에 맞는 행사에는 청와대를 다각도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특히 영빈관의 경우 외빈 접견 뿐 아니라 대통령 주재 회의 등 대규모 행사에도 적극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시설을 활용하기로 한 것은 영빈관 같은 공간을 찾기가 어렵다는 현실적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은 그간 용산 청사와 근접한 국방컨벤션이나 전쟁기념관, 특급호텔 등에서 외빈 행사를 여러 차례 치렀지만 경호 또는 비용 등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용산 청사도 행사 공간을 갖추고 있으나 낮은 층고와 협소한 공간, 인테리어 등의 문제로 국빈을 맞이하기에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당초 대통령실이 추진하던 ‘국가 영빈관’(가칭) 설립이 여론 반대 속에 무산되면서 일단은 영빈관 등 청와대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영빈관 신축 비용 878억6300만원 중 497억4600만원이 반영된 사실이 알려진 뒤 야권 반대에 부딪혀 좌초됐다.
또 박정희 정부 때인 1978년 건립된 영빈관이 낡았지만, 전임 정부 때 수리를 통해 시설이 많이 개선됐다는 평가를 받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축구 국가대표팀 환영 만찬을 마친 뒤 대표선수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지난 5일 서면 브리핑에서 청와대 영빈관 이용과 관련, “역사와 전통의 계승과 실용적 공간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지난 8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지난번 (베트남 국가주석) 국빈 방문 때 영빈관을 처음 사용하면서 행사가 매우 원활하게 진행됐고 국빈도 만족했다고 저희들은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영빈관을 축구대표팀 환영 만찬 장소로 낙점한 것도 이들에 대한 최대한의 예우를 갖추기 위해서다.
새 정부가 청와대 영빈관을 활용한 것을 두고 야당에서는 “쓸데없는 고집을 버리길 바란다”며 일침을 가했다. 야당은 영빈관 활용을 지속적으로 주장해왔고, 결국 윤석열 정부가 돌고 돌아 영빈관 만한 장소가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다만 대통령실은 애초 청와대 영빈관 활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윤 대통령은 지난 3월 20일 기자회견을 열어 용산 집무실 이전을 직접 발표하면서 청와대 영빈관을 임시 이용하는 방안을 언급한 바 있다.
청와대 영빈관이 대한민국의 역사와 전통을 보여주고 국격에 맞는 장소로 재조명되고 있다. 청와대 시설이 ‘제왕적 대통령제’라는 부정적인 이미지 대신 한국의 국격을 높여주고 신구 권력의 가교가 되어주길 바란다.
국빈 만찬이 진행된 지난 5일 청와대 영빈관에 불이 밝혀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