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종합부동산세 폭탄 논란

조정지역도 3주택부터 다주택 종부세…12억까진 중과 배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과세율 적용하는 다주택 범위서
조정지역 2주택 제외 합의
기본공제 9억·1주택은 12억원
다주택 중과세율도 낮아질 듯


매일경제

올해 주택분 종부세 납세자가 120만명으로 사상 첫 100만 돌파한 가운데 한 시민이 세무서 앞을 지나가고 있다. [이충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정대상 지역 여부와 상관없이 종합부동산세제 상 중과세율을 적용하는 다주택자의 범위가 3주택 이상으로 축소된다. 다만, 3주택 이상을 보유하더라도 과세표준 12억원을 넘지 않으면 중과세율(1.2~6.0%)이 아닌 낮은 일반세율(0.5~2.7%)을 적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12일 국회와 정부 당국에 따르면, 여야가 이같은 내용 등을 담은 종부세법 개정안에 의견 접근을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는 법인세 등에 대한 추가 협의로 내년 예산안과 세제 개편안 통과 시점을 15일로 늦췄지만 종부세법 개정에 대해선 사실상 대부분 쟁점에서 합의를 도출한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종부세 상 다주택자의 범위를 3주택 이상을 보유한 사람으로 규정했다. 기존 종부세법상 다주택자도 개념상으로는 3주택 이상 보유자였지만 여기에 조정대상지역 2주택자가 포함되다 보니 사실상 2주택 이상을 다주택자로 봤다.

매일경제

그래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야가 합의한 법 개정안에 따르면 조정대상지역 2주택자는 다주택자의 범위에서 제외된다.

현행 종부세법에서 다주택자 여부는 중과세율 적용 여부를 가르는 중요한 분기점이다. 다주택자에는 1.2~6.0%까지 높은 세율을 적용하지만, 1주택자 등에는 0.6~3.0%의 낮은 세율(일반세율)을 적용한다. 다주택자들은 두 배 안팎의 중과세율로 종부세를 내는 것이다.

정부·여당이 제시한 종부세 개편안은 0.5~2.7% 단일세율로 통일하는 안이다. 다주택자에 부과하는 중과세율을 아예 없애고 일반세율도 소폭 하향 조정하는 방식이다.

야당은 일반세율과 중과세율로 이원화된 세율 체계는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여야가 도출한 절충안이 조정대상지역 여부와 상관없이 3주택자부터 다주택자로 보고 이들에게 중과세율을 적용하는 식이다.

정부·여당은 이원화된 세율 체계를 유지하는 부분은 탐탁지 않지만 조정대상지역 2주택자가 일반세율로 과세되면서 다주택자의 범주가 크게 줄어드는 만큼 절충안을 수용하기로 했다.

여야는 이 과정에서 3주택자 이상자라도 주택 합산 공시가가 12억원을 넘지 않을 경우 중과세율이 아닌 일반세율(0.5~2.7%)로 과세하는 장치를 두기로 합의했다. 3주택 이상을 합산했을 때 12억원이 되지 않는다면 거주 주택 이외 2주택 이상이 상속주택이나 농가주택 등 투기 목적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것이다.

다만, 합산 공시가가 12억원을 넘는 3주택 이상자에 적용하는 중과세율은 여야가 아직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야당은 다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최고세율이 최소 5.0%는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주택자에 대한 중과세율을 아예 없애려 했던 정부·여당은 5.0%보다 훨씬 낮게 가져가야 한다고 본다. 어떤 형태로든 다주택 중과세율은 기존 수준(1.2~6.0%)보다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종부세 기본공제 금액에 대한 인상안은 여야가 이미 협의를 마쳤다. 1가구 1주택자는 현행 11억원에서 12억원으로, 기본공제는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이다.

이 경우 부부공동명의자는 기본공제가 18억원까지 오르게 된다. 조정대상지역 2주택 보유자의 경우 과세 시작점이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오르는 데다 중과세율 대신 일반세율이 적용되면서 세 부담이 가장 크게 줄어드는 계층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