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취업과 일자리

코로나가 바꿔놓은 우리 사회…대학 휴학·고용 감소·환경 파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 유행 영원히 지속될 것'이란 두려움 높게 나타나

아주경제

신규확진 6만2734명…코로나19 검사 기다리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9일 서울역에 마련된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지어 서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6만2천734명 늘어 누적 2천761만1천555명이 됐다고 밝혔다. 2022.12.9 saba@yna.co.kr/2022-12-09 13:14:23/ <저작권자 ⓒ 1980-2022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우리 사회 전반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전부터 진행된 초저출산·초고령화 등 메가 트렌드는 가속화됐고 대학 생활과 노동, 주거, 범죄·안전 등 분야에서도 이전과는 다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2'에 따르면 팬데믹 3년 차인 2022년에는 전파력은 더 높지만 치명력이 낮은 오미크론 변이로 인해 감염 심각성 인식은 줄어들었지만 감염 가능성 인식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아서 두렵다'(54.3%), '향후 5년 이내에 새로운 감염병이 출현할 것 같아 두렵다'(61.9%) 등 감염병 관련 두려움이 지속됐다.

코로나19 위험인식 조사에서는 여성, 60대 이상에서 코로나19 심각성 인식이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위축된 일상 회복 정도에 대한 평가 결과 지난해 2월까지는 절반 회복인 50점에 미치지 못했지만 올 6월엔 절반 회복(61.4점)을 넘어섰다.

다만 저소득층의 일상 회복 점수는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6월 점수는 48.4점으로 전체 평균과 격차(13.0점)가 더 확대됐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배달업이 성장하면서 플랫폼 노동자 비율도 증가했다. 이들 노동자는 남성과 30·40대가 주를 이뤘다.

배달·배송·운송업 종사자 비중은 2020년과 2021년에 각 52.0%, 76.0%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 중 30·40대가 53.6%, 51.7%로 많았다.

코로나19 이후 신입생·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휴학생 비율과 중도 탈락률은 증가했다. 대학 생활을 충분히 누릴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되자 반수 준비 등을 위한 휴학생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일반 대학 1학년 신입생의 중도 탈락률이 증가했다. 코로나19 이전에 대학 생활을 경험해보지 못한 것이 코로나19 시기 대학 생활 적응을 어렵게 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로 인해 노동시장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학사 학위 취득 유예생은 뚜렷이 증가했다.

학사 학위 취득 유예생은 전문대가 2019년 202명에서 2021년 340명으로 늘었고, 일반대가 1만3241명에서 1만9016명으로 증가했다.

전공계열별 취업 상황은 이공계열이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인문사회계열은 6.1%포인트 하락했다.

코로나19 시기 대졸 임금근로자 임금 수준 변화를 살펴보면 상승 폭이 과거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했거나 오히려 임금 수준이 하락했다는 점에서 코로나19가 2020년 대졸자 월평균 임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일반대 졸업자는 2019년 208만2000원에서 2020년 211만5000원으로 임금이 소폭 상승한 반면 전문대 졸업자는 186만8000원에서 174만3000원으로 하락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일반대 졸업자보다 전문대 졸업자에게 크게 나타난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은 환경에도 작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비대면 소비를 선호하게 되면서 온라인 구매에 따른 일회용 포장재 등 사용이 급증했다.

국민 1인당 연간 택배 이용량은 2000년 2.4박스, 2020년 65.1박스, 2021년 70.3박스로 전 국민이 주당 1.4회 택배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인구 기준으로는 1인당 택배 이용량은 2021년 연간 128.2박스, 주당 2.5회로 집계됐다.

특히 택배 포장재 등 '폐지류 기타'가 전년 대비 21.1%, 배달음식과 제품 포장 등에 사용되는 '폐합성수지류 기타'는 59.9%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소비 패턴과 생활폐기물 발생 변화는 국민의 환경 의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환경문제로는 2018~2019년에 3순위였던 '쓰레기 문제'가 2020~2021년에 1순위로 올라섰다.

아주경제=안선영 기자 asy728@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