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윤석열 정부 출범

12억 상당 민간 영양물자 북한에 전달···3건 중 2건 윤석열 정부 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북 민간단체들이 지난해 말부터 올해까지 정부 지원을 받아 북한에 보낸 12억원 상당의 영양물자가 실제 전달된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전달된 3건 중 2건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반출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 취약계층의 인도적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해 9월부터 추진해온 대북영양보건협력정책사업이 올해 12월10일자로 종료됐다”며 “기금 지원을 받은 3개 단체가 12억원 규모의 물자를 북한으로 반출했고 모두 영양물자”라고 말했다.

대북영양보건협력정책사업은 대북 지원 민간단체에 사업당 5억원 한도로 사업비 100%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총 14개 단체에 67억3000만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으나 3개 단체의 12억원 상당 영양물자만 북한에 실제 전달됐다.

통일부에 따르면 실제 전달된 3건 중 2건의 물자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북한에 들어갔다. 이 가운데 1건은 전임 문재인 정부가 승인했고, 나머지 1건은 윤석열 정부가 승인했다. 전달된 영양물자는 모두 콩기름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북측에 실제 전달된 사실을 서류상 확인했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인도적 지원에서 모니터링은 중요한 부분”이라며 “민간단체는 북측으로의 물자 반출을 증빙하는 서류, 북측이 제출한 인도·인수증, 분배내역서를 반드시 통일부에 제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 당국이 남측 민간단체 물자 반입을 인지하고 있는지는 공식 확인이 어렵다고 통일부는 밝혔다. 통일부 다른 당국자는 지난 13일 기자간담회에서 “(민간의 대북 물자지원은) 보통 제3국 업체를 끼고 이뤄진다”며 “남측에서 물자가 온다는 정도는 인식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통일부 고위 당국자도 같은 날 “(지원)배후에 한국이 있다는 부분은 알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간단체의 대북 지원이 극도로 경색된 남북 관계 개선의 물꼬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 관계가 안좋음에도 북한이 민간단체 물품을 일부 받은 건 어떤 의미가 있나’라는 질문에 “윤석열 정부도 과거 정부와 마찬가지로 인도적 지원에 있어선 정치·군사적 상황과 관계없이 추진하겠다는 일관된 정책을 갖고 있다”고 원론적으로 답했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지난 13일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초에 사회문화, 인도, 교역 부분의 민간단체 협력들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해서 당국간 협력 여건을 조성해 나갈 생각”이라고 말한 바 있다.

박광연 기자 lightyear@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