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핵무기 전투기 왜 띄우는 거야?”...코너 몰린 푸틴 무슨 꿍꿍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회담하는 푸틴 대통령(왼쪽)과 루카셴코 대통령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점령지 상황이 심상치 않음을 시인했다. 푸틴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연방보안국 기념일을 맞아 화상 연설에서 “도네츠크·루한스크 공화국, 헤르손, 자포리자 상황이 극도로 어렵다”면서 국경 보안 강화를 명령했다고 타스통신이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국경은 확실하게 지켜져야 한다”며 “이를 넘어서려는 시도는 기동대나 특수부대 등 쓸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저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점령지를 ‘러시아의 새로운 지역’이라고 부르면서 “이곳에 사는 러시아 시민은 보안국의 보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날 푸틴 대통령은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루카셴코 대통령과 회담한 뒤 기자회견에서 “러시아는 어느 나라도 흡수할 뜻이 없다”며 “적들은 우리의 통합을 막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벨라루스가 우크라이나전에 참전할 것이라는 관측에 대한 언급 없이, 양국의 결속 강화만을 강조했다.

다만 푸틴 대통령은 안보 보장이 러시아와 벨라루스 양국 모두에게 우선순위임을 강조하며 군사 분야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아울러 러시아가 벨라루스 공군 조종사를 훈련해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개조된 옛 소련 시절 전투기를 조종할수 있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벨라루스는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러시아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배치했다.

벨라루스는 우크라이나 파병을 거부하고 있으면서도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에 러시아군 배치를 허용하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최신 보고서에서 “푸틴 대통령의 민스크 방문은 그가 2023년 겨울 우크라이나 북부나 수도 키이우에 대한 새로운 공세를 위한 조건을 설정하려 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밝혔다.

이처럼 러시아 우방 벨라루스가 최근 국경 지대에서 군사행동을 이어가는 것이 우크라이나 침공에 참여하려는 징후일 수 있다고 외교 전문매체 포린폴리시(FP)가 분석했다.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의 한 소식통은 국경 인근에 벨라루스군과 러시아의 동원 병력을 포함해 약 3만 명 이상의 장병이 집결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