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이슈 세계 속의 북한

美 "북한, 러 용병회사 와그너그룹에 로켓·미사일 판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솔레다르에서 한 주민이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심하게 손상된 아파트 건물 사이를 걷고 있다. AP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돕고 있는 러시아 민간 용병회사인 와그너 그룹에 무기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악관 "북한이 와그너 그룹에 1차 무기 인도 완료"

한국일보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이 28일(현지시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앞두고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22일 전화 브리핑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그는 "북한은 지난달에 와그너 그룹이 사용할 보병용 로켓과 미사일을 러시아에 전달했다"면서 "북한이 와그너 그룹에 1차 무기 인도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북한이 와그너 그룹에 인도한 무기의 규모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북한이 전달한 무기의 규모는 우크라이나 전쟁 양상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이 추가로 군사 장비를 공급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혀 북한의 추가 무기 공급 가능성을 시사했다.

커비 조정관은 "북한 정부 관리들은 공개적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하지 않겠다고 말했으나 와그너 그룹에 무기를 인도했다"면서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동맹 및 파트너 국가와 함께 안보리에서 북한의 대북 결의 위반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면서 "와그너 그룹에 대한 무기 인도를 북한은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도 별도 성명을 통해 "와그너의 북한 무기 구매는 북한에 금지된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추가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을 대줌으로써 한반도 불안정에 기여한다"고 우려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이번 무기 구매가 북한이 전례없이 많은 탄도미사일 도발에 나서는 상황에서 이뤄졌다는 점을 부각한 뒤 "미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안보리 결의 위반을 향후 안보리 회의에서 제기할 계획"이라며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에 관련 정보를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와그너 그룹, 우크라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 지원..."푸틴 의존 커져"

한국일보

우크라이나 검찰이 전쟁범죄 혐의로 기소한 러시아 민간군사기업 '와그너 그룹' 소속 용병들. 가디언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미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무기와 탄약이 부족한 러시아에 북한이 무기 판매를 추진하고 있다고 경고해왔다. 특히 지난달에는 북한이 러시아에 상당량의 포탄을 중동 혹은 북아프리카 국가로 보내는 것으로 위장해 공급한 정보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와그너 그룹에 대한 무기 판매는 러시아 정부에 공급된 것은 아니라고 커비 조정관은 부연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측근이 수장으로 있는 와그너 그룹은 2014년 설립 이후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을 지원하는 등 비공식적으로 활동해 왔다.

커비 조정관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서 고전하면서 푸틴 대통령이 갈수록 와그너 그룹에 더 의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그는 와그너 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매달 1억 달러가 넘는 돈을 써가며 우크라이나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있지만, 신병 모집에 어려움을 겪어 감옥에서 죄수를 고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와그너 그룹이 현재 우크라이나에 계약직 1만 명과 죄수 4만 명 등 5만 명을 배치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와그너 그룹이 우크라이나 동부 전선 최대 격전지인 바흐무트 전투에서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커비 조정관은 전쟁이 계속되면서 와그너 그룹의 위상이 높아져 이제는 러시아군 장교들이 와그너 그룹의 명령을 받는 경우도 있다면서 "와그너 그룹이 러시아 군 및 다른 부처와 경쟁하는 권력으로 부상했다"고 말했다.

전날 미국은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병합 이후인 2017년 무역 블랙리스트에 추가된 와그너 그룹에 대한 수출통제를 강화했으며, 향후 와그너 그룹에 대한 추가 제재 조치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커비 조정관은 설명했다.

프리고진 와그너 그룹 대표, "북한에서 무기 받지 않았다" 반박

한국일보

러시아 용병기업인 와그너 그룹의 로고.


예브게니 프리고진 러시아 민간 용병기업 와그너 그룹 대표가 22일(현지시간) 북한으로부터 로켓과 미사일을 인도받았다는 미국 백악관의 주장에 대해 "가십과 추측"이라며 일축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프리고진 대표는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이 오랫동안 러시아에 어떤 무기도 공급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며 "그런 노력은 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아울러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이날 성명을 통해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했다는 외신 보도에 대해 부인했다.

앞서 백악관은 북한이 지난달 비용을 지불한 와그너 그룹에 로켓과 미사일 등 1차 무기 전달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행동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정면 위반하는 것이라고 규탄하며 동맹 및 파트너들과 안보리에서 제기할 것이라고 했다.

김현우 기자 777hyunwoo@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