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美 군용기도 누구 태우는지 몰랐다… ‘007 영화’ 같았던 젤렌스키 방미 작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미국 방문이 첩보 영화를 방불케 하는 철통 보안 속에 진행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22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의 깜짝 방미는 극도의 보안과 철통같은 엄호 속에 진행됐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300일이던 지난 20일 인접국인 폴란드의 남동부 제슈프에 미 군용기 조종사들이 도착했다.

조종사들은 주우크라이나 미국 대사와 우크라이나 고위 당국자 몇명을 태운다고만 들었다가 멀리서 다가오는 차량에서 내리는 사람의 얼굴을 보고서야 자신들이 중대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아챘다.

조선일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방미를 환영하며 남긴 트윗./트위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차에서 내린 인물은 다름 아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었다.

브리짓 브링크 주우크라이나 미 대사를 비롯한 키이우 현지 실무자들은 감청 우려 때문에 통신을 이용하지 않고 대부분의 논의를 대면 접촉으로 진행하기도 했다.

미국 ‘서열 3위’인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을 비롯해 의회 주요인사에게도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에 도착하기 불과 사흘 전에야 관련 소식이 공유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을 들은 펠로시 의장은 직전까지도 이를 함구했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이 워싱턴에 도착해 21일 백악관 정상회담에 이어 미 의회 합동연설을 한다는 소식이 뒤늦게 전해지자 상하원 의원수 상당수가 깜짝 놀랐다. 또 성탄절 연휴를 앞두고 휴가를 떠난 일부 의원들이 급히 워싱턴DC에 복귀하기도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방미가 일급비밀로 다뤄진 건 매일같이 목숨의 위협을 받는 전시 지도자의 출국이 갖는 특유의 위험성 때문이라고 WP는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바이든 대통령을 만나 변함없는 지지를 약속받았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2일 동유럽을 거쳐 귀국하면서 “(워싱턴에서) 정말로 도움이 될 좋은 결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김자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