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美 “주한미군 규모 유지… 대만에 무기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든, 내년 국방수권법안 서명

中 반발… 대만 주변서 무력시위

동아일보

AP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8580억 달러(약 1133조 원)의 2023년 회계연도 국방예산을 담은 국방수권법안(NDAA)에 서명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NDAA에는 주한미군 규모를 현재와 같은 2만8500명으로 유지하고 한미 상호방위조약에 따라 미국의 모든 방어역량을 동원해 한국에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약속을 재확인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또 국방장관에게 270일 이내에 북한과 러시아, 중국의 핵 역량과 해상발사핵순항미사일(SLCM-N)을 포함한 억지 전략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특히 NDAA에는 내년부터 중국의 대만 침공 준비가 완료될 것으로 추정되는 2027년까지 5년간 매년 20억 달러씩 총 100억 달러를 융자 형식으로 대만에 제공해 미국 무기 구입을 지원하도록 했다. 또 2024년에는 세계 최대 규모 다국적 연합 해상훈련인 환태평양훈련(RIMPAC·림팩)에 대만을 참여시키는 등 중국의 대만 침공에 대비한 계획을 연도별로 수립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법안은 바이든 행정부에 180일 이내에 미국 및 동맹국에 대한 중국의 경제보복에 대비한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대응 전략을 세우도록 했다.

중국군은 이에 맞서 25일 대만을 담당하는 동부전구가 대만 주변 해상과 상공에서 실전 훈련을 벌이며 무력시위를 했다. 동부전구 대변인은 “다양한 병종을 조직해 연합작전순찰과 타격훈련을 했다. 미국과 대만이 결탁해 도발을 격상한 데 대한 단호한 대응”이라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전날 “중국에 대한 심각한 정치적 도발”이라고 반발했다.

미국 하원은 예산처리 시한인 23일 NDAA를 포함한 1조7000억 달러(약 2200조 원) 규모의 2023년 회계연도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내년도 예산안에는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을 위한 450억 달러(약 58조 원) 규모 예산을 비롯해 미 연방정부 기기에 중국 동영상 공유사이트 틱톡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담겼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