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일회용컵이요? 커피값 300원 올랐다 생각하고 버려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제주서 보증금제 시행 한달

환경부, 회수율 20~30% 추정

점주·소비자 “반납절차 번거로워”

헤럴드경제

녹색연합, 여성환경연대, 환경운동연합, 이제석광고연구소 관계자들이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일회용컵 보증금제의 전국 시행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


“세종시 분위기요? 커피값 300원 올랐다 생각하는 경향이 큽니다. 일회용컵을 돌려주고 보증금을 돌려받기 보다, 한 번 쓰고 버리는 사람들이 많아요.”

세종시에서 사는 김모(31)씨는 지난달 시에서 시범운영 중인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보며 고민이 많다. 개인 카페를 운영하는 김씨는 “현재는 프렌차이즈에만 적용하고 있지만 개인 카페도 적용될 것 같아 불안하다”며 “환경을 생각하면 (보증금 제도가) 맞는 방향인데 시민들 저항이 커 차라리 텀블러 혜택을 확대하는 게 어떨까 싶다”고 말했다.

세종·제주에서 ‘일회용컵 보증금제’시행 한 달이 지났지만 현장에서 체감하는 변화는 여전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음료를 구입할 때 컵 보증금 300원을 내고 컵을 반납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제도다. 소상공인들의 반발로 일부 지역에서 시범운행 중이다. 환경부는 전국으로 제도를 확대할 계획이지만, 소비자와 카페 점주들이 느끼는 거부감은 컸다.

6일 환경부는 일회용컵 보증금제가 시행된 지난달부터 한 달간 소비자들이 9만7991개의 컵을 반납했다고 밝혔다. 현재 제도가 시행 중인 세종과 제주의 제도 적용 매장은 652곳이다. 이중 다회용컵 전용 매장 130곳을 제외하면 522곳이다. 환경부는 회수율을 20~30%로 추정하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6월부터 전국 프랜차이즈 매장 약 3만8000곳을 상대로 이 제도를 시행하려고 했지만 업체의 반발로 지난달 2일부터 세종과 제주에서만 우선 시행하기로 했다. 제주와 세종 매장 520여곳 중 3분의 1 정도는 이 제도를 보이콧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도 시행 한달째지만 세종과 제주의 카페 점주와 시민들이 느끼는 불편함은 여전했다. 특히 손님이 일회용컵을 반납할 때 절차가 번거로운 것에 대한 불만이 컸다. 제주도 A커피 점주는 “매장 평수가 너무 작아서 일회용컵을 반납 받을 장소도 없고, 카페 입장에서 불편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제주도 B 커피 매장 직원도 “보증금 반환할 때 관련 앱을 깔아서 바코드를 찍어야 하는데, 사람들이 불편해한다”며 “매장은 바쁜데, 그런 것까지 일일이 안내하다보면 바쁜 점심시간엔 주문하려는 손님들 줄 서는 경우도 더 잦아지고, 기다리다가 다른 매장 가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하소연했다.

불편하기는 시민들 마찬가지다. 세종시에서 공무원으로 일하는 윤모(33) 씨는 “취지는 좋지만 보증금을 받으려면 커피를 구입한 카페로 다시 돌아가는 과정이 번거롭다”며 “주변을 봐도 돈도 더 내는데 보증금 다시 받기 위해 다시 돌아가야 하는 상황을 귀찮아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세종시에서 일하는 다른 직장인 김혜수(28) 씨도 “회사에서 음료를 단체로 주문할 일이 많은데 동료들이 ‘컵 정리하지 말고 버리자. 그거 언제 다 씻어’라고 말하기도 했다”며 “보증금을 돌려받으려면 컵 겉면에 붙여진 바코드가 손상되지 않게 섬세하게 설거지를 해야 하는데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일회용컵에 대한 부담이 큰 프랜차이즈 카페 점주를 위한 후속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장수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 이사장은 “제도 시행 전과 후를 비교하면 매출이 30∼40% 감소했다고 가맹점주들이 말한다”며 “(매출 감소를 고려해 가맹본사가) 보증금제 시행 점포의 물류비와 로열티 등을 감면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빛나·박혜원·김영철 기자

binna@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