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G7 정상회담

“日, 5월 G7 정상회의에 尹 초청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요미우리 “강제 동원 해결에 달려

한·미·일 안보 강화 알릴 기회”

쿼드 동맹 濠·印도 초청 가능성

일본 정부가 5월19∼21일 히로시마(廣島)에서 개최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윤석열 대통령을 초청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8일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민주주의, 법의 지배 등 가치관을 공유하는 한·일, 한·미·일 간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윤 대통령 초청을 고려하고 있다.

세계일보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문은 “패권주의적 행동을 강화하고 있는 중국, 핵·미사일 개발을 계속 중인 북한,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러시아에 대한 대처가 중요하다”며 “한국 측도 G7 정상회의 참석을 강하게 희망하고 있어 실현되면 협력 강화를 내외에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된다”고 전했다. 이어 “윤석열정부는 이전 문재인정부와 달리 대일 관계 개선과 한·미·일 안보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며 “지난해 연말 발표한 첫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해 미국, 일본과 보조를 맞췄다”고 평가했다.

일본은 2008년 홋카이도(北海道) 도야코(洞爺湖)에서 열렸던 주요 8개국(G8, 당시 러시아 포함) 정상회의에 한국을 초청한 바 있다.

신문은 양국 최대 현안인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 배상문제 해결에 따라 윤 대통령 초청이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문은 “일본 정부는 (한국 대법원의) 배상 명령을 인정하지 않고, 한국 정부에 해결을 바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며 “향후 한국 측의 대응을 끝까지 지켜본 뒤 초청 여부를 최종 판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일본은 G7 정상회의에 쿼드(Quad: 미국·호주·인도·일본의 안보대화체) 국가인 호주와 인도 정상을 초청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일본은 호주와 준동맹 관계를 맺고 있고, 인도는 올해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이다.

신문은 “미국, 일본, 호주, 인도는 쿼드 정상회의를 G7 정상회의에 이어 5월 하순 호주에서 여는 방향으로 조율 중”이라며 “호주, 인도를 G7 정상회의에 초청하면 4개국 관계를 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신문은 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온라인 형식으로 G7 정상회의에 참여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소개했다.

도쿄=강구열 특파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