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그물·폐플라스틱..LG화학 바다 쓰레기서 자원 캐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우경희 기자]
머니투데이

12일 여의도 트윈타워에서 이호우 LG화학 상무(왼쪽)와 정택수 NETSPA 대표가 열분해유 원료공급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LG화학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화학이 폐어망이나 바다에 떠다니는 폐플라스틱 등 해양폐기물을 재활용해 플라스틱을 생산한다.

LG화학은 12일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자원 순환 기업 넷스파(NETSPA)와 해양폐기물 재활용을 통한 자원순환 체계 구축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LG화학은 2024년 가동 예정인 충남 당진시 석문국가산업단지 열분해유 공장의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넷스파가 해양폐기물에서 플라스틱을 선별 · 가공해 제공하면, 이를 활용해 재활용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양사는 이번 자원순환 파트너십을 통해 해양 생태계보호와 탄소배출 저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폐어망 등 해양폐기물은 국내 기준 연간 약 5만 톤 발생한다. 폐기 비용으로 인해 수거가 원활하지 않고 또 수거되더라도 처치가 곤란해 방치되거나 주로 소각됐다.

양사는 이를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로 활용하면서 해양 쓰레기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시에 화석연료 기반의 기존 제품 대비 탄소도 3배가량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G화학은 2050 넷제로 선언 이후 바이오 원료의 친환경 플라스틱 출시, 바이오매스 발전소 합작사 설립, 이산화탄소 포집으로 플라스틱 생산 등 지속가능한 친환경 신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해양폐기물 자원 순환 등 미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친환경 기술과 사업을 더욱 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우경희 기자 cheerup@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