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사고 강원 출신 신입생 4.6%
상산고 등 수도권 쏠림 현상 심화
외고, 국제고처럼 교과과정 검토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등에 따르면 교육부는 전날 국회에 이런 내용을 담은 ‘고교 교육력 제고 추진 방향’을 보고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18일 부산 해운대구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열린 교육부장관·시도교육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 단위 자사고는 △광양제철고(전남) △김천고(경북) △민사고(강원) △북일고(충남) △상산고(전북) △외대부고(경기) △포항제철고(경북) △하나고(서울) △하늘고(인천) △현대청운고(울산) 등 총 10곳이 있다. 민사고의 경우 지난해 신입생 153명 중 강원 출신은 7명(4.6%)에 그쳤다. 학생 10명 중 8명(118명·77.1%)은 서울·경기 출신이었다. 상산고도 전체 신입생(344명) 중 서울·경기 출신(228명·66.3%)이 전북 출신(64명·18.6%)보다 3배 이상 많았다.
교육부는 전국 단위 자사고에서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을 반영해 이들 학교에서 지역 인재를 더 많이 뽑도록 의무화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의무화 비율을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김유나 기자 yoo@segye.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