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전차 지원’ 결정 하루 만에 러 공습…사상자 22명 발생 [우크라 전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전차 지원’ 결정 하루 만에 러 공습…사상자 22명 발생 / 사진=2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외곽의 흘레바카 마을에서 아이들이 러시아군의 포격으로 발생한 구덩이 옆에 서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가 2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역에 대규모 공습을 가해 적어도 11명이 숨졌다. 이날은 미국과 독일 등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주력 전차를 지원하기로 한 이튿날이었다.

A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이날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와 남부 자포리자·오데사 등 11개 지역에 미사일과 드론으로 대대적 공습을 가했다.

우크라이나 국가비상서비스는 이날 새벽부터 시작된 공습으로 총 11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다쳤다고 텔레그램에 밝혔다.
서울신문

2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외곽의 흘레바카 마을에서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 후 파괴된 집 안에서 주민 할리나 파나시안(69)이 슬퍼하고 있다. /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2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외곽의 흘레바카 마을에서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공격으로 피해를 입은 이웃집에서 현지 주민들이 잔해를 치우고 있다. /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탈리 클리치코 키이우 시장은 “키이우 남부에서 미사일 파편을 맞고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다”며 전쟁 사망자가 난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라고 말했다.

남부 자포리자 당국은 지역 에너지 기반시설이 공습을 받으면서 3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습으로 적어도 11개 지역, 35개 건물이 피해를 봤으며, 곳곳에서 정전이 발생했다.

우크라이나 최대 민영 전력업체인 DTEK은 “미사일 공격 위협에 따라 키이우 및 주변 지역, 남부 오데사, 동부 드니프로 지역에서 비상 정전이 시행됐다”고 밝혔다.

남부 항구도시 오데사에서는 에너지 기반시설 2곳이 손상됐다고 시 당국이 밝혔다.
서울신문

우크라이나군은 26일(현지시간) 러시아가 발사한 미사일 47기를 요격했다고 밝혔다. / 사진=우크라이나 공군 사령부 페이스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군은 이날 러시아가 일부 Tu-95 전략 폭격기 등으로 발사한 미사일 59기 중 47기를 요격했다고 밝혔다. 키이우 및 주변 지역에서 요격한 미사일은 20기에 달한다.

이날 러시아가 발사한 미사일 중에는 kh-47 킨잘 극초음속 미사일도 있었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일반 미사일보다 속도가 빠르고 추적과 방어도 어렵다. 러시아는 또 53차례의 다연장로켓(MLRS) 포격을 가하기도 했다.
서울신문

우크라이나 공군은 이란제 샤헤드-136 및 131 자폭 드론 24대를 전부를 요격했다고 밝혔다. / 사진=우크라이나 공군 사령부 페이스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각지에는 자폭 드론도 날아들었다. 우크라이나 공군은 이란제 샤헤드-136 및 131 자폭 드론 24대를 전부를 요격했다고 밝혔다. 그중 15대는 키이우 상공에서 요격됐다. 이 드론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남부 아조우해 쪽에서 발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신문

왼쪽은 미국제 M1 에이브럼스 전차, 오른쪽은 독일제 레오파드2 전차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미국과 독일은 전날 우크라이나에 주력 전차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미국의 M1 에이브럼스 31대, 독일의 레오파르트2 14대, 영국의 챌린저 14대 등 서방으로부터 100대가량의 전차가 오는 3월 말~4월 초 우크라이나에 공급될 예정이다.

이에 러시아는 전차 지원이 극도로 위험한 결정이라고 반발하며, 인공지능(AI) 조종 시스템으로 움직이는 전투 로봇을 투입할 계획을 시사했다. 이 로봇은 5㎞ 떨어진 거리에서도 조종이 가능하며, 외형은 바퀴를 단 소형 장갑차 형태로 알려졌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