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이슈 물가와 GDP

고지서는 '예고편', 공포의 영수증 덮친다…대중교통·식품 줄인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안재용 기자]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난방비 폭탄'으로 국민 부담이 높아진 가운데 새해 첫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를 넘길지 주목된다. 최근 난방비 등 공공요금이 급등한 데 이어 한파로 신선식품 가격도 오르고 있어 소비자물가가 쉽게 둔화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물가상승률은 전년동월 대비 5%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물가상승률과 같은 수준으로 지난해 5월(5.4%) 이후 8개월째 5% 이상 상승세다.

29일 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통계청은 다음달 2일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통해 올해 첫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발표한다. 소비자물가가 비록 둔화세지만 1월에도 5% 안팎의 상승률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한파로 인한 농산물 가격도 오를 수 있어서다.

농산물 등 신선식품 가격 상승과 함께 식품업계의 연이은 가격 인상도 주요 변수다. 식품업계는 원부자재 가격과 인건비·물류비 상승 등을 이유로 연초부터 주요 제품의 가격을 올린 상황이다.

전기요금도 크게 올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30일 올해 1분기 전기요금을 1㎾h(키로와트시)당 13.1원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4인 가구가 한달 동안 307㎾h의 전기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한달 전기요금은 지난해 12월 기준 4만6382원에서 올해 1월 기준 5만404원으로 4022원 증가했다.

문제는 전기요금 추가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실제 산업부는 앞서 국회에 제출한 한국전력 경영정상화 방안에서 1㎾h당 전기요금 51.6원을 올려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30원 이상의 인상요인이 남았다는 얘기다.

또 대중교통 요금과 상수도 요금 등도 올라갈 전망이다. 서울시는 올해 택시 기본요금을 다음달 1일부터 1000원 오른 4800원으로 인상한다. 지하철과 시내버스, 마을버스 요금도 오는 4월부터 각각 300원 이상 올린다. 상수도의 경우 서울시는 이달부터 요금을 올렸고 세종, 대전, 인천 등에서도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

정부는 공공요금 인상 필요성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비용 인상요인을 최대한 흡수하겠다는 방침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3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공동으로 2023년 중앙-지방 현안 합동회의를 열고 "올해는 공공요금이 주된 물가 상방 요인이 될 전망으로 원가 절감, 생산성 향상 등 자구 노력을 통해 지방 공기업 등이 인상 요인을 최대한 자체적으로 흡수해 달라"며 "불가피한 인상 요인은 인상 시기를 최대한 이연·분산해 국민 부담을 최소화해 달라"고 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 둔화 속도가 빠르지 않을 것이라 내다봤다. 공공요금 인상 압력 때문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올해 유가 수준이 작년보다 낮아지더라도 한국의 경우 그간 누적된 비용인상 압력이 금년중 전기·가스요금 등에 뒤늦게 반영되면서 소비자물가(CPI) 둔화 속도가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딜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안재용 기자 poo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