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3 (화)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식품에 공공요금까지 5.2% 찍은 물가…에너지발 물가상승 압력 지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기·가스요금 줄인상…먹거리 물가도 상승세 지속

정부, 분야별 대책 마련했지만…효과는 지켜봐야

뉴스1

서울 시내에 설치된 전기 계량기의 모습. 2023.2.2/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이철 기자 = 새해 첫달부터 5%대 물가상승률이 이어지면서 고물가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공공요금 인상에 더해 식품 가격 상승세는 꺾일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2분기 전기요금 인상 등 상방압력 역시 여전하다.

정부는 일단 급한 불 끄기에 나섰다. 공공요금을 안정화하려고 노력한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 재정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한편 먹거리는 비축 물량을 풀기로 했다. 가격을 올리는 가공식품 업계에는 일종의 경고를 했다. 하지만 물가안정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로 전년 동월 대비 5.2% 상승했다.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전월 상승률(5.0%)보다 0.2%포인트(p) 높았다. 물가 상승 폭이 전월보다 확대된 것은 지난해 9월 5.6%에서 10월 5.7%로 오른 이후 3개월 만이다.

물가 상승폭을 키운 데는 공공요금 인상의 영향이 컸다.

전기요금은 지난해 4·7·10월에 이어 올해 1월에도 오르면서 전월 대비 9.2%, 전년 동월 대비로는 29.5% 급등했다. 도시가스는 1년 전보다 36.2% 올랐고, 지역 난방비도 34.0% 올랐다.

먹거리 물가도 주요 상승 요인이다. 가공식품 물가 지수는 115.51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3% 올라 전월(10.3%)과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2009년 4월(11.1%) 이후 13년9개월 만의 최대 상승률이다.

이미 오를대로 올라버린 물가지만, 더 큰 문제는 향후 전망이다.

공공요금의 경우 1월에 오른 전기요금이 2월 고지서에 본격 반영되는 만큼 이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더욱 끌어올릴 수 있다. 전기료가 오르면 각종 제품의 생산 비용을 높이고, 외식·숙박 등 서비스 전반의 비용 부담으로 연결된다.

1분기 요금이 동결된 가스요금은 이르면 2분기부터 추가로 인상된다. 최근 서울시를 중심으로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 인상도 줄줄이 대기 중이어서 공공요금발 물가 상승은 당분간 이어질 수밖에 없다.

먹거리도 마찬가지다. 이번달엔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등 가격인상, 4월엔 주세 인상이 예고돼 있어 당분간 먹거리 물가의 대폭 하락은 어려울 전망이다.

뉴스1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2% 상승했다. 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2023.2.2/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일단 1월 물가상승률이 '예상 부합' 수준이라면서도 안정화를 위해 잇단 대책을 내놓고 있다. 공공요금을 인상하려는 지자체를 달래면서 인센티브 대책을 마련했고 최근 한파로 가격이 급등한 농·축·수산물의 경우 주간 단위로 할인을 지원하면서 공급물량을 늘리기로 했다. 계속 가격을 올리는 가공식품 업계와는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3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최근 인상논의가 있는 지방 공공요금은 최대한 안정되도록 지자체별로 개별협의를 강화할 것"이라며 "지자체 공공요금 안정노력과 연계된 재정인센티브의 차등 폭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여전히 장바구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가공식품의 경우 가격안정을 위한 업계 협의를 계속해 나가겠다"며 "주요 식품원료에 대한 할당관세 연장 적용 등 정부 노력과 함께 가격안정을 위한 식품업계의 역할을 당부드린다"고 요청했다.

이같은 노력에도 다시 상승폭을 확대한 물가가 잡힐지는 두고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월에도 5% 내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면서 향후 물가 경로상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2월이든, 상반기든 물가 상승 압력은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며 "공공요금에서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부분을 실제로 많이 반영을 못했었는데, 이에 대한 가격 상승이 앞으로 물가를 죄우할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예상했다.

ir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