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튀르키예 지진, 사망자 1만명 달할수도…인명피해 컸던 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규모 7.6 강진에 진앙깊이 18km로 얕아 피해 키워

"200년동안 지진 징후 없었던 지역…내진 설계 미비"

시리아 10년 이상 내전으로 건물 대다수가 노후·손상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6일(현지시간)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덮친 강진으로 하루 만에 사망자가 4000명에 육박하는 등 인명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어지는 여진으로 사상자 수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인명피해가 유달리 컸던 이유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제기된다.

이데일리

(사진=B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BC방송은 “튀르키예 가지안테프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 7.8의 강진이었던 데다, 진앙 깊이가 약 18㎞로 얕았고 진원지도 가지안테프에서 불과 33㎞ 떨어진 지역이어서 충격이 더욱 컸다. 지진이 발생한 시간도 사람들이 대부분 집에서 잠을 자고 있던 새벽이어서 피해를 키웠다”고 설명했다.

BBC는 또 “튀르키예는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국가지만,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남부 도시 가지안테프는 200년 이상 대지진이나 경고 징후가 없었던 지역이었다”며 “대처에 익숙한 지역보다 대비 수준이 낮았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가지안테프는 튀르키예에서 여섯 번째로 큰 도시로 인구 213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내진 설계가 되지 않은 오래된 건물이 많아, 즉 건물이 지진에 대응할 수 있을 만큼 견고하지 않았던 점도 대규모 피해를 낳은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특히 시리아의 경우 10년 넘게 지속된 내전으로 건물 상당수가 노후화하거나 손상히 심해 충격에 더욱 쉽게 무너졌다. 또 튀르키예와 접경 지역인 시리아 북부에는 내전을 피해 이주해온 난민이 머물고 있다.

터키에서도 1950년대 대규모 이민자 유입 이후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도시개발로 많은 지역이 자연재해에 심각하게 취약하다는 경고 목소리가 지속 제기돼 왔다.

영국 포츠머스대의 카르멘 솔라나 화산학과 위험 커뮤니케이션 부문 부교수는 “안타깝게도 터키 남부와 시리아의 지진 저항 기반 시설은 수준이 고르지 못하다”고 말했다.

지진은 지하의 아라비아판과 아나톨리아판이 충돌하면서 발생했다. 천천히 움직이는 두 지각판이 서로 밀면서 수십년동안 압력이 축적됐다가 몇 초 만에 해제됐고, 서로 비껴지나가며 발생한 마찰이 격렬한 진동을 발생시켰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전했다.

영국 더 오픈 대학의 행성 지구과학자 데이비드 로서리는 “아라비아판이 아나톨리아판을 서쪽으로 1년에 약 2cm의 속도로 밀면서 지진 응집력이 터키 지역에 쌓였다”고 부연했다.

한편 붕괴된 건물들에 대한 구조작업이 이어지는 가운데, 계속되는 여진으로 인명피해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우려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사망자 수가 1000∼1만명일 확률을 47%로 예측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