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튀르키예·시리아 뒤흔든 강진…사망 7800명, 이재민 2300만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7일(현지시간) 튀르키예 남부의 한 건물 붕괴현장에서 구조대가 생존자를 이송하고 있다. [사진 출처 =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상 초유의 지진이 튀르키예(터키)와 시리아를 강타하면서 780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조와 시신 수습 작업이 이뤄지면서 사망자가 속속 추가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 2만명 이상이 사망했을 수 있단 우려도 나오고 있다.

7일(현지시간) AFP통신과 로이터 등에 따르면 전날 이 지역을 강타한 규모 7.8, 7.5 강진으로 수천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튀르키예에서는 5894명이 사망하고 3만4000명 이상이 다쳤으며, 시리아에서는 최소 1932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구조당국과 민간 구호단체는 영하를 오가는 추위와 악천후에도 필사적으로 생존자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는 사망자 수가 지금까지 확인된 사례만 집계한 것이어서 앞으로도 수천명 단위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최대 2만명을 넘어설 수 있단 게 WHO의 관측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역시 1만명 이상이 사망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튀르키예 당국에 따르면 서쪽으로는 아다나에서 동쪽으로는 디야바크르까지 약 450km, 북쪽으로는 말타야에서 남쪽으로는 하타이까지 약 300km에 걸쳐 약 135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파괴된 건물은 6000채에 육박한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81개 주 중 지진 피해가 큰 10개 주에 3개월간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붕괴된 건물 잔해에서 현재까지 8000여명이 구조됐고, 정부가 제공한 임시숙소 등에 38만명이 체류 중이다.

매일경제

지진으로 거주지를 잃은 튀르키예 주민들이 7일(현지시간) 한 사원에 마련된 임시보호소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 출처 =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리아도 상황은 심각하다. 진앙에서 약 250km 거리인 하마에서도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스테판 두자릭 유엔 대변인에 따르면 시리아 반군이 점령한 지역에는 유엔 구호물자도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유일한 전달통로인 밥알하와 검문소로 이어지는 도로가 지진으로 파괴됐기 때문이다.

현재 양국의 구조당국은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생존자를 찾고자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지진으로 도로가 파괴돼 접근이 어려운데다 폭설 등 악천후까지 겹쳐 구조와 구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추위가 지속하면 생존자들의 ‘골든타임’이 단축될 수 있단 우려도 나온다.

WHO는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합쳐 이번 지진으로 230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추산했다.

우리 정부는 전날 역대 최대 규모로 구성된 대한민국 긴급구호대(KDRT)를 급파했다. 구호대는 외교부와 소방청, 한국국제협력단(KOICA) 소속 인력과 수색·의료 등을 담당하는 군 병력 등 총 118명으로 구성됐다.

또 튀르키예에 우선 500만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도 제공하기로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