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튀르키예·시리아 강진 사망자 1만명 넘어…갈 곳 잃은 생존자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생존자들도 추가 지진 두려워 추위 속에 고통

시리아 더 참혹…길 막혀 유엔 구호물품 이송 중단

한국 긴급구호대 도착…하타이서 수색·구조활동



헤럴드경제

8일(현지시간) 소방관들이 강진으로 무너진 튀르키예 남동부 가지안테프 건물 잔해 속에서 매몰된 사람들을 찾고 있다. 전날 규모 7.8, 7.5의 거대 지진이 잇따라 발생해 사망자가 9천명 이상 발생한 가운데 필사적인 구조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규모 7.8과 7.5의 연쇄 강진이 덮친 튀르키예(터키)와 시리아에서 8일(현지시간) 현재 사망자가 1만명을 넘어섰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지진 발생 사흘째인 이날 튀르키예에서 사망자가 8574명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시리아에서는 당국과 반군 측 구조대 '하얀 헬멧'이 밝힌 것을 합친 사망자 수치가 25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AFP 통신은 이를 토대로 양국을 합친 사망자는 1만1200명을 넘겼다고 보도했다.

사망자가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이번 지진 사망자가 10만명을 넘길 가능성을 14%로 추정했다. 사망자가 1만∼10만명일 가능성은 30%, 1000명∼1만명은 35%로 내다봤다.

직전 보고서에서는 이번 지진 사망자가 10만명이 넘길 가능성을 0%로 예측했지만 14%로 오른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날 최악의 경우 사망자가 2만명이 넘을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가장 큰 피해 지역 중 하나인 튀르키예 하타이주에선 사망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자 시신을 보관할 장소마저 부족한 상황이다.

로이터는 하타이주의 한 병원 건물 바깥에 수십 구의 시신이 땅에 줄지어 누워 있었다고 참혹한 상황을 전했다. 대부분의 시신은 시체 운반용 자루에 담겨 있었지만, 일부는 담요나 시트만 덮인 상태였다고 덧붙였다.

시민들은 지진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두려움에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거리로 내몰린 시민들은 자가용 차량에서 밤을 보내고, 노숙하며 추운 겨울밤을 지새우고 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전날 튀르키예 81개 주(州) 가운데 지진 피해를 본 10개 주를 재난 지역으로 지정하고 3개월간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그러나 피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당국의 구조 작업이 느리고 인력과 장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국가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튀르키예와 비교해 내전으로 사실상 무정부 상태인 시리아의 상황은 훨씬 열악하다.

특히 시리아 서북부 지역은 튀르키예와 국경을 맞댄 작은 교차로를 통해서만 구호품을 조달할 수 있는데, 이 길마저 파괴돼 유엔(UN)은 이날 구호품 이송 중단 조처를 했다.

더욱이 시리아 정부가 구호 물품을 튀르키예 국경이 아닌 국가를 통해 전달하라고 요구하고 있어 지원 조치가 추가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

이런 가운데 국제사회가 앞다퉈 지원 의사를 밝히며 전 세계 65개국이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우리나라 해외긴급구호대(KDRT)는 이날 오전 6시 57분께 튀르키예 남동부 가지안테프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hwshi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