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이슈 G7 정상회담

블룸버그 "G7, 러시아 지원한 중국·북한·이란에 제재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해 2월 중국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인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7개국(G7)이 중국과 북한, 이란을 제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나라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군사 물품이나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G7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생한 지 1년이 되는 24일까지 제재 관련 세부 내용의 조율을 마치는 것을 목표로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을 인용해 9일 보도했다.

G7이 제재안을 추진하는 건 러시아로 흘러 들어가는 군사 물자 흐름을 막기 위해서다. 블룸버그는 “이번 조치는 G7이 그동안 벌인 대(對)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지 않고 있는 제3국을 통해 군사용 물품이 러시아로 가는 것을 막으려는 노력”이라고 전했다.

논의는 아직 진행 중이다. 블룸버그는 “국가별로 제재 조치가 다를 수 있으며, 제재 대상 기업의 범위도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가장 중점을 두는 곳은 중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는 “일부 G7 국가는 중국 기업이 러시아에 군사적으로 도움이 되는 반도체와 같은 기술 부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고 전했다. 미 보안전문 싱크탱크인 폴리시 액셀러레이터도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가 반도체 등 주요 필수품을 중국·홍콩 등을 거쳐 대거 수입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지난달 CNN도 복수의 미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국영기업들이 러시아에 비살상용 군사 장비 등을 지원한 정황을 포착하고 중국 정부에 문제를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지난 4일 러시아 세관 자료를 분석해 지난해 중국 국영 방산업체들이 군수 장비를 러시아 국영 방산업체에 수출하는 방식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원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수출 장비에는 항법 장비, 전파방해 기술, 전투기 부품 등이 포함돼 있었다.

이에 바이든 행정부 내부에선 “(중국 기업의 지원이) 제재를 전면 회피한 수준은 아니어도 (제재)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고,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지난 5∼6일로 계획했던 방중 기간에 중국의 러시아 지원 문제를 의제로 다룰 예정이었다. 하지만 블링컨 장관의 방문은 중국의 정찰 풍선 사태로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중앙일보

지난해 10월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우크라이나에 사는 이란인들이 이란 정부가 러시아에 드론을 지원하는 것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과 이란은 ‘러시아 군사 지원’을 부인하고 있지만, 이미 미국을 비롯한 서방은 러시아에 드론을 지원한 이란 기업을 제재한 상황이다. G7은 이번에 논의중인 제재를 통해 이 조치를 확대할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북한 역시 러시아에 탄약 등 무기를 공급하고 러시아 민간 용병회사인 바그너 그룹에는 로켓과 미사일도 전달한 정황이 있다. 이러한 사실을 북한이 부인하자 백악관은 지난달 20일 북한이 지난해 11월 철도를 이용해 러시아로 보병용 로켓과 미사일 등 무기를 보낸 정황이 담긴 위성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중앙일보

지난달 20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이 공개한 북한의 무기전달 관련 위성 사진. 사진 미국 백악관 트위터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블룸버그는 또 “(G7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튀르키예, 인도 등 국가를 통해 러시아가 악용할 수 있는 장비가 유입될 가능성 등 제재가 뚫리는 허점을 해결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