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G7 정상회담

G7, 러시아에 군수품 판 北·中 기업 제재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블룸버그 "G7, 이달 24일까지 제재안 발표"

미국, 지난달 중국 위성회사 제재 대상에 추가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주요 7개국(G7)이 러시아에 군수 물자를 제공한 북한과 중국, 이란 기업을 제재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데일리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사진= 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G7 국가가 러시아에 군수품을 판매한 북한·중국·이란 기업에 대한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G7이 제재 대상 기업을 지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1주년이 되는 이달 24일 내에 결론이 나올 수 있다고 전했다.

북한과 중국, 이란은 러시아에 군수물자를 대는 대표적인 국가로 꼽힌다. 백악관은 지난해 연말 북한이 러시아 용병집단인 바그너그룹에 탄약과 미사일을 판매했다고 비판했다. 이란도 전쟁 초기부터 러시아에 군용 드론 등을 판매했다. 중국은 무기는 아니지만 전투기 부품이나 군용 반도체, 안테나 등 군수물자를 러시아에 우회 수출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이들 나라는 군수 물자 제공을 부인하고 있다.

구체적인 제재의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지난달 미국은 와그너그룹에 위성 이미지를 제공한 혐의로 중국 창사톈이(長沙天儀) 우주과학기술연구소를 제재 대상에 추가하고 미국 내 자산을 동결하고 미국인과의 사업을 금지한 바 있다. 한 관계자는 G7 안에서도 국가별로 제재 강도가 다를 수 있다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최근 미국은 대러시아 제재 실효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지난주 중동을 방문한 브라이언 넬슨 미국 재무부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이 튀르키예와 아랍에미리트(UAE)에 러시아와 군수물자 교역을 통제할 것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가 이들 국가를 거쳐 군수물자를 우회 수입하거나 부유층 자금을 은닉하고 있어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