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EU “시리아 알사아드 정권, 지진 구호 활동 정치화 말아야” [튀르키예 강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첫 EU 지원 물품 인접국 도착

“제재가 인도주의 지원 막지 않아”

헤럴드경제

지난 10일 시리아 북서부 알레포주 잔다리스의 건물 잔해에서 시리아 시민방위군(하얀 헬멧)이 구조 작업에 나서고 있다. [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유럽연합(EU)이 강진 피해 구호 활동을 정치적 도구로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댄 스토에네스쿠 EU 시리아 특사는 12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다마스쿠스 정부는 인도주의적 원조 이슈를 정치화하지 말고, 유엔과 구호단체의 피해 주민을 돕기 위한 선의에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스토에네스쿠 특사는 알아사드 정부가 원조 물품들을 전용한 전례가 있었다면서 “EU는 구호 물품이 취약한 이들에게 전달될 수 있게 보장하는 충분한 안전장치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재가 시리아에 대한 인도주의 지원을 방해하지 않는다면서 EU 회원국에 적극적인 구호 참여를 독려했다고도 했다.

앞서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이끄는 시리아 정부는 서방의 제재로 구호 활동이 방해 받고 있다며 제재를 풀어달라고 요구해 왔다.

알아사드 정권은 과거 친정권 성향의 지역에 구호 물품을 우선적으로 보냈다는 의혹을 받은 적이 있다.

튀르키예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으로 주요 국가들과 우호적인 외교 관계여서 각국으로부터 인도주의적 지원을 받고 있다. 반면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는 시리아는 상당수 국가로부터 직접 원조를 받지 못했다. 특히 이번 강진의 주요 피해 지역인 서북부 반군 장악 지역에는 지난 9일에서야 첫 유엔 구호 물품이 전달됐다.

유럽에서 보낸 첫 구호 물품은 전날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 도착했다. 여기에는 이탈리아에서 지원한 구급차 4대와 30t 상당의 의약품이 포함됐다.

유엔은 원활한 인도주의 지원을 위해 튀르키예·시리아 국경을 통과하는 육로를 추가 개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유엔은 튀르키예와 반군 지역을 잇는 유일한 통로인 ‘바브 알하와’ 육로를 통해서만 구호 물품을 수송해 왔다.

yckim6452@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