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규모 7.0 이상 여진 또 덮칠 수도”…정부는 책임 떠넘기기[튀르키예·시리아 강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11일(현지시간) 지진으로 폐허가 된 튀르키예 카라만마라슈의 모습. 미 지질조사국은 튀르키예 지진 상황과 관련해 지난 6일 발생한 규모 7.8 강진과 맞먹는 여진이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지진 생존자를 찾기 위한 구조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또다시 규모 7.0 이상의 여진이 덮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와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튀르키예 정부는 구조 늦장 대응과 부실 건축물 방치 등을 놓고 비판이 거세지자, ‘부실 공사’를 이유로 건설업자 백여명에 체포 영장을 발부하며 책임 돌리기에 나섰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새 보고서를 통해 향후 튀르키예 지진 상황과 관련한 세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하며 규모 7.0 이상의 여진이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USGS는 “가능성 10% 정도의 시나리오”라고 전제하면서도 “이렇게 되면 본진 피해지역에 또다시 영향을 미치면서 추가 여진 빈도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규모 5.0∼6.0대의 중간 정도 지진이 이어지면서 여진 빈도가 줄어들 가능성은 90%로 예상됐다. 규모 7.8 이상의 더 강한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1% 안팎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관측됐다.

또한 USGS는 이날 보고서에서 튀르키예·시리아를 합친 지진 사망자가 10만명을 넘길 확률을 26%로 2%포인트 올려잡았다. 지진 직후 0%에서 닷새 사이 10%, 14%, 24%, 26%로 잇따라 상향된 것이다.

강력한 여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은 이재민들이 생존을 위한 사투를 벌이고, 동시에 생존자를 구하기 위한 필사의 구조작업이 벌어지고 있는 재난 현장의 공포를 더욱 키우고 있다. 실제 튀르키예 재난관리국에 따르면 지난 6일 새벽 규모 7.8의 강진이 강타한 이후 지금까지 크고 작은 여진이 2000회 이상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헤럴드경제

지난 8일(현지시간) 강진으로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 남동부 카라만마라슈를 방문하고 있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의 모습 [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추가 피해 가능성이 커지고 있지만 튀르키예 정부는 ‘책임 떠넘기기’에만 급급한 모습이다.

이날 푸아트 옥타이 튀르키예 부통령은 건설업자 113명에 대한 체포 명령을 내렸다. 이들은 부실 공사로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키운 혐의를 받고 있다. 그러면서 옥타이 부통령은 “큰 피해를 입고, 사망자와 부상자를 낸 건물에 대해서는 필요한 사법절차가 마무리 될 때까지 면밀히 추적할 것”이라면서 추가조치를 시사했다.

무라트 쿠름 환경도시계획 및 기후변화부 장관은 “지금까지 튀르키예 10개 주에 있는 건물 약 17만2000채를 점검한 결과 2만5000채가 심각한 손상을 입었거나 철거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미 여론은 정부가 재난의 책임을 건설업자들에게만 돌리고 있다는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진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 남부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이 주도한 건설 붐이 일어난 지역으로, 부실 공사를 눈감아 준 정부가 지진 피해의 가장 큰 책임이 있다는 주장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튀르키예 정부가 그간 안전 규제를 위반한 건물에 대한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감면해주는 방식으로 부실 공사를 방관했다고 지적했다.

가디언은 “현재 튀르키예에서는 늦장 구조작업과 대규모 피해와 관련해 정부에 대한 분노가 고조되고 있다”면서 “건설업자들에 대한 법적 조치는 에르도안 대통령이 오는 5월 선거를 앞두고 비난을 피해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balm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