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 쿠데타 이후 민간인 사망자 3000명 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얀마에서 군부 쿠데타 이후 발생한 민간인 사망자가 3000명이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미얀마 인권단체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일일 브리핑에서 2021년 2월 군사 쿠데타 이후 발생한 민간인 사망자가 3000명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AAPP는 올해만 민간인 118명이 희생된 것으로 파악됐으며, 실제 사망자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3000번째 희생자는 ‘사테’라는 이름의 70세 수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인 그는 100여명의 군인이 사가잉의 한 마을에 불을 지르자 집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미얀마에서는 2020년 11월 총선이 아웅산 수치 고문이 이끈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의 압승으로 끝나자, 이를 부정선거라 주장하는 군부세력의 쿠데타가 발생했다. 정권을 잡은 군부는 자신들을 반대하는 이들을 유혈 진압했다. 평화 시위를 벌이다 총에 맞아 숨지고 고문 중 사망하는 사례가 속출했다. 군부의 공습 등으로 사망한 아이들도 300여명에 달한다.

AAPP에 따르면 이날 3000번째 사망자가 나온 사가잉은 군부 탄압에 따른 인명 피해가 가장 큰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에서 전체 희생자의 41%에 해당하는 1229명이 사망했다. 만달레이와 양곤에서는 각각 민간인 350명, 316명이 숨졌다.

AAPP는 쿠데타 이후 1만9739명이 체포됐으며 이 중 1만5882명이 구금 중이라고 전했다. 쿠데타 이후 사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총 144명이었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자국민들을 무차별적으로 살상하는 와중에도 대내적인 선전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높이가 81피트(약 24.69m)에 달하는 불상을 건설하겠다며 시민들의 기부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현지 매체 이라와디 등은 군부가 불상 건립을 통해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을 ‘불교의 수호자’로 미화하려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군부는 기독교 등 다른 종교의 활동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미얀마 서부 친(Chin) 주에서는 기독교인들이 종교 활동을 하려면 1주일 전 당국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용하 기자 yong14h@kyunghyang.com

▶ 나는 뉴스를 얼마나 똑똑하게 볼까? NBTI 테스트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