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세계와 손잡는 K팝

SM 인수 ‘쩐의 전쟁’ 여론전...장철혁 CFO “하이브서 인수 시 K팝 매출 66% 독·과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이브서 지분 인수하더라도 공정위 심사는 SM 미래에 리스크 요인 작용” 지적

세계일보

SM엔터테인먼트 로고. SM 엔터테인먼트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영권 분쟁을 겪는 SM엔터테인먼트가 자사 1대 주주로 올라서는 하이브의 추가 지분 공개매수에 대해 20일 공개적으로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SM은 이날 오전 공시한 ‘공개매수에 관한 의견표명서’를 통해 “이번 공개매수는 당사와 아무런 협의나 논의 없이 공개매수자(하이브)가 당사 최대 주주(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와의 별도 합의에 따라 일방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SM은 “이런 적대적 방식의 공개매수 시도는 K팝 문화를 선도하는 굴지의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공헌한 아티스트와 임직원의 노력을 폄하하는 것임과 동시에 기업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주주 등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훼손할 심각한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SM은 그러면서 “당사의 핵심 사업 추진 전략에 따라 본 공개매수가격(12만원)을 상회하는 잠재적 기업가치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SM은 이달 3일 이수만을 음반 제작에서 배제하는 대신 제작센터와 내·외부 레이블을 신설해 음반 제작 속도를 앞당기는 ‘SM 3.0’ 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10일 SM 인수전에 하이브가 뛰어들면서 이날 오전 9시 현재 SM 주가는 공개매수가 12만원을 훌쩍 뛰어넘은 상태다.

세계일보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하이브 사옥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M은 “공개매수자는 향후 어떻게 회사 및 주주 가치를 제고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며 “오히려 최대주주와 연대해 경영권 분쟁의 외관을 창출하면서 당사와 카카오 그룹의 사업적 협력관계 구축을 무산시키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SM은 아울러 “(하이브가) 당사 경영권을 확보하는 경우 음원 및 콘텐츠 제작에서도 당사 소속 아티스트는 후순위로 밀려나게 되는 등으로 사업적 역량이 약화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K팝 문화를 선도해 온 대표 종합 엔터테인먼트 회사로서 당사와 아티스트가 발전시켜 온 고유한 개성이나 가치관이 사라지는 것 또한 염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SM은 ‘자사 아티스트 후순위 우려’에 대해 후속 보도자료를 통해 “메이저 가수의 경우 월요일 혹은 금요일에 신보를 발매하기에 신곡 발표 가능일은 연 100회 수준으로 제한돼 있는데, 이미 하이브 소속 가수만으로 포화상태”라고 설명했다.

또 SM이 하이브에 인수돼 자체 팬 플랫폼 사업을 포기하고 하이브가 운영하는 위버스에 입점하면 신성장 동력을 잃게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장철혁 SM CFO(최고재무책임자)도 이날 오전 유튜브에 영상을 올려 “SM과 하이브가 합쳐지면 전체 (K팝) 시장 매출의 66%가량을 차지하는 독과점적 지위를 가지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여론전에 가세했다.

작년 3분기 기준 SM과 하이브의 음반·음원 수익을 합산하면 시장 전체의 70%, 공연 수익을 합산하면 무려 89%에 이르러 K팝 시장의 다양성을 저해한다는 것이다.

장 CFO는 또한 “(하이브의) 지분 인수가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추후 이뤄질 공정위 심사는 SM의 미래에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독과점 이슈로 기업결합신고가 반려된다면 대량의 SM 지분이 시장에 쏟아져 급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또한 조건부 결합 승인을 받을 경우에도 하이브에서 공정위가 제시한 시정 조치 실행을 위해 피인수사인 SM의 사업 규모를 축소할 우려가 있다고 했다.

그는 “(하이브의) 공개매수 신청이 마감(3월 1일)되기 전에 SM이 그리고 있는 ‘SM 3.0’의 전체 전략을 전달하겠다”고 덧붙였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