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우리는 매일 미세플라스틱을 먹고 있다, 몰랐다고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회용컵 하루 1개 1년간 사용 땐

미세플라스틱 2639개 섭취하는 셈

경향신문

경향신문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달 주문할 때 주로 사용하는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이 다회용기보다 2.9~4.5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기 16종과 다회용기 4종을 시험 평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일회용기의 경우 종류에 따라 1개당 1개~29.7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다회용기는 0.7개~2.3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커피를 모두 일회용 컵으로 마신다고 가정할 경우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인 377잔을 대입하면 개인별로 노출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연간 약 2639개 수준이다.

여기에 소비자들이 일주일에 약 1.9회 정도 배달음식을 주문한다는 조사(오픈서베이) 결과를 고려하면 연간 미세플라스틱 노출량은 더 늘어난다.

또 용도가 유사한 용기끼리 비교했을 때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이 다회용기보다 적게는 2.9배에서 많게는 4.5배까지 더 많았다.

조사대상 제품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컵과 포장용기의 주된 원재료인 페트(PET·47.5%)와 폴리프로필렌(PP·27.9%)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종이컵에 코팅되는 폴리에틸렌(PE·10.2%)이 검출됐다.

시험대상 전 제품 모두 주 원재료 외에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도 검출됐다. 이는 제조, 포장, 유통 시 외부 오염으로 인한 혼입으로 추정된다.

소비자원은 미세플라스틱의 뇌·신경질환 등 위해성은 아직 과학적으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선제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배달 포장 시 일회용기 대신 다회용기를 사용하면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부처에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관리방안 마련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소비자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소비자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유미 기자 youme@kyunghyang.com

▶ [27년 꼴찌 성별임금격차] ‘신입 채용’은 공정했을까
▶ 나는 뉴스를 얼마나 똑똑하게 볼까? NBTI 테스트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