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연재] 연합뉴스 '특파원 시선'

[특파원 시선] 남아공 '로드셰딩'이 뭐길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족 전력 '품앗이'로 나눠 사용하는 순환단전 일컬어

하루 최장 12시간…발전기·인버터없이 정상생활 불가

연합뉴스

순환단전으로 불꺼진 요하네스버그의 거리 모습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로드셰딩'(load-shedding)

지난 1월 10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도착한 이래 2개월간 단연코 가장 많이 듣고, 제일 자주 언급한 단어다.

사전에도 없는 로드셰딩, 도대체 뭐길래 남아공에서 이렇게 '뜨거운 감자'가 됐을까?

남아공은 전체 전력 생산의 80%를 차지하는 화력발전 시설을 제때 제대로 정비하지 못하면서 15년 넘게 전력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남아공 전력의 90%를 공급하는 국영전력공사 '에스콤'(Eskom)은 전면적인 '블랙아웃'을 예방하기 위해 2007년 지역별로 시간대를 나눠 단전하는 방식으로 부하를 조정하는 순환단전(1∼8단계)을 도입하면서 이를 로드셰딩이라고 불렀다.

'짐'을 뜻하는 '로드'(load)와 '나눈다'는 의미의 '셰딩'(shedding)을 합친 조어(造語)다.

연합뉴스

로드셰딩 안내 앱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순환단전(로드셰딩) 일정을 안내하는 앱을 캡처한 화면. 2월 26∼28일 3일 연속 6단계가 시행됐다. 표시된 시간이 단전되는 시간대다. 2023.3.10 photo@yna.co.kr (끝)


짐을 나누어 부담을 덜듯이 '품앗이'처럼 돌아가면서 전력 공급을 차단해 전력 과부하를 덜어준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애초 순환정전이라고 번역했으나 의도적으로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는 의미에서 지금은 순환단전으로 쓰고 있다.

처음에는 지역별로 이따금, 그것도 하루 두어 시간 단전에 그쳤기에 일상생활이나 경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크지는 않았다.

그러나 갈수록 상황이 악화하면서 지난해 순환단전을 한 날은 207일에 달해, 2021년 75일에 비해 3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작년 10월 31일부터는 130일 넘게 하루도 거르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최고 강도의 7∼8단계까지 간 적은 없지만, 최근에는 하루 최장 11∼12시간의 단전을 감당해야 하는 6단계도 자주 시행됐다.

연합뉴스

남아공 한 가정집에 설치된 인버터 모습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9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의 한 가정집에 설치된 대형 충전설비 '인버터'의 모습. 2023.3.10 hyunmin623@yna.co.kr


자체 발전기나 '인버터'라고 불리는 대형 충전설비, 태양광 패널 등을 갖추지 않으면 정상적인 생활 패턴을 유지하기가 어려울 정도다.

이에 결국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은 지난달 9일 연례 국정연설에서 국가재난사태를 선포하기에 이른다.

아울러 전력난 해결에만 전념하는 전기부를 대통령 직속으로 새로 두겠다고 밝힌 라마포사는 근 한 달 만인 지난 7일 48세의 공학도 출신 행정학 박사인 코시엔초 라모코파 전 프리토리아(츠와네) 시장을 장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국가재난사태 선포와 전기부 장관 임명 등이 전력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에 무게가 실린다.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에스콤의 부실 경영의 뿌리가 그만큼 깊기 때문이다.

1923년 3월 1일 창립된 에스콤은 남아공의 다이아몬드와 금 광산의 활황을 뒷받침하며 함께 세계적인 전력 회사로 성장했다.

연합뉴스

남아공 에스콤 운영 화력발전소 너머로 뜨는 해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백인 정권의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정책) 하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남아공 인구는 1987년만 해도 전체의 40% 정도에 그쳤다.

에스콤은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소외됐던 수백만 흑인 가정에 저렴한 가격으로 차질 없이 전기를 공급했고, 늘어나는 인구도 무난하게 감당했다.

2001년 12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 에너지상 시상식에서 '올해의 회사'로 선정될 정도였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10년 안에 발전소를 추가로 짓지 않으면 전기가 바닥날 것'이라고 경고한 1998년 정부의 한 보고서는 오래도록 방치됐다.

로드셰딩을 시작한 2007년에서야 새 석탄 화력발전소 두 기를 짓기 시작했지만, 시운전 지연과 설계 및 건설 문제 등으로 막대한 초과 비용을 감당해야 했다.

연합뉴스

남아공의 한 화력발전소 모습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독과점에 따른 방만한 경영은 막대한 규모의 부채로도 이어졌다.

현재 부채 규모는 남아공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5%가 넘는 4천억 랜드(약 28조원)에 달한다.

그러는 와중에 대부분의 화력발전소는 가동연한을 훌쩍 넘겨 45년 이상이 됐고, 작년에는 잦은 고장으로 인한 생산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태우는 경유를 살 돈마저 바닥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 1994년부터 장기 집권 중인 여당 아프리카민족회의(ANC)의 자금줄 역할을 해왔다는 등 각종 부패 의혹까지 받는 에스콤의 추락은 끝이 없어 보인다.

"부패가 에너지 위기를 촉발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큰 이유"라는 룰라 잉글레시-로츠 프리토리아대 경제학과 교수의 지적은 새겨들을 만하다.

연합뉴스

남아공 반부패 시민단체 OUTA의 에스콤 창립 100주년 축하 트윗
[OUTA 트위터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가 당신을 위해 만든 케이크를 함께 즐기길 바란다"는 문구와 함께 사진에는 케이크 대신 로드셰딩으로 전기가 끊겨 만들다가 만 생 케이크 반죽이 그릇에 담겨 있었다.

hyunmin62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