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日집권당 간부 "기시다 우크라 방문, 국회에 비밀로 해도 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국회 보고가 관례…간부, 사전 승인 '불필요' 인식
뉴시스

[도쿄=AP/뉴시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달 28일 도쿄에서 열린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3.03.1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일본 집권 자민당의 간부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의 우크라이나 방문을 '후 보고' 형식으로 해도 된다고 언급했다.

13일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자민당 참의원 간사장은 전날 TV도쿄 프로그램에 출연해 기시다 총리가 우크라이나를 방문할 경우 국회 사전 승인은 불필요하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그는 "(기시다 총리) 안전 문제도 있다. 우리(국회)에게도 꼭 비밀로 하고, 사후 보고하면 된다"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의 우크라이나 방문 시기에 대해서는 "주저 없이 적절한 시기에 갔으면 좋겠다"며 "주요 7개국(G7) 의장국인데 G7 (정상) 중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나지 않은 유일한 정상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올해 5월 히로시마(?島)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 전 우크라이나 방문 실현을 촉구했다.

앞서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예고 없이 키이우를 깜짝 방문했다. 백악관은 러시아 측에는 사전 통보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기시다 총리는 G7 정상 중 키이우를 방문하지 않은 유일한 G7 정상이 됐다.

일본 정부는 기시다 총리의 우크라이나 방문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과 같은 깜짝 방문은 어렵다.

일본에서는 총리를 포함한 각료가 국회 개회 중 해외 방문에 대해 사전 양해를 구하는 것이 관례다. 항공기는 식별번호를 발신하며, 일본 정부 전용기도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관례를 따르면 안보 상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 현지 안전 확보가 중요하지만, 일본 자위대가 경호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일본 경시청 경호원인 SP가 경호한다 하더라도 장비가 군에 비해 크게 뒤떨어진다. 전쟁이 중 표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경호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게 되는 셈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aci27@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