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글로벌 공급망 '도미노' 넷제로…韓 조선업은 특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 공급망 탄소배출량까지 관리…주요국 기후 공시 도입으로 가속화 전망


머니투데이

현대중공업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물류 공룡' 머스크가 메탄올 추진선 발주를 본격화한 것은 국내 조선업계 수주 환경의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탄이다. 아울러 전세계 공급망을 타고 이어지는 연쇄적 넷제로(탄소중립) 추이의 단면을 보여준다.

공급망 타고 확산되는 탄소중립

영국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친환경 선박(기존 벙커유에 비해 오염물질 배출이 적은 LNG·LPG·메탄올 등을 추진 연료로 쓰는 선박) 발주량은 2606만CGT(표준환산톤수)로 전체의 62%를 차지했다. 전년(32%) 대비 비중이 2배 가량 높아졌다.

컨테이너선의 경우 메탄올 추진선의 부상이 눈에 띈다. 지난해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은 전세계 컨테이너선 발주량의 21%를 차지했다. 첫 발주가 2021년 8월이었다는 걸 감안하면 급속한 증가세다.

친환경 선박 발주가 급증한 일차적 원인은 선박에 대한 환경 규제 본격화다. 올해부터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가 선박에너지효율지수(EEXI)와 탄소집약도지수(CII)를 이용해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규제한다. 유럽연합(EU)은 내년부터 기존 배출권거래제(ETS)를 이용, 일정 규모 이상의 선박이 EU 역내·외를 운항하며 내뿜는 온실가스에 대해 해운사에 탄소 가격을 부담시킨다.

규제에 대응하는 수세적 움직임에 더해 시장 내 경쟁력을 제고하려는 기업들의 공세적 전략도 이 같은 흐름을 거세게 한다. 머스크가 화주들의 저탄소 운송 수요에 맞춰 규제 기준 보다 적극적으로 탄소 저감에 나서는 게 대표적 예다. 이런 변화는 공급망에서 밸류체인(가치사슬)을 타고 확산된다.

머니투데이

한국 조선사, 전세계 친환경 선박 절반 수주

한국 조선업은 이 같은 흐름을 기회로 살린 예다. 지난해 발주된 전세계 친환경 선박의 상당 부분을 국내 조선업체들이 수주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의 조선 5사(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현대삼호, 현대미포)가 지난해 전세계 친환경 선박 발주량 중 50%를 수주했다. 차세대 친환경 컨테이너선종이 유력한 메탄올 추진선의 경우, 세계 최초 수주를 한 HD현대의 한국조선해양(현대중공업, 현대삼호, 현대미포)이 누적 실적(38척)에서도 세계적으로 가장 앞서 있다. 특히 현대중공업의 경우 자체 엔진사업을 보유한 게 경쟁 우위 요인으로 꼽힌다.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의 탄소배출량을 관리하는 추세가 강화되면 이 같은 '도미노 영향'은 더 커질 수 있다. 통상 스코프3(Scope3)라고 지칭되는 탄소배출량은 협력업체·운송 등 기업 경영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일컫는다. 배출권거래제나 탄소세의 규제 대상이 되는 스코프1(제품 생산단계에서 사용한 연료에서 나온 직접적 온실가스 배출량), 스코프2(공정 과정에 쓰인 전기·열의 원천에서 나온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량)와 달리 아직 직접 규제 대상은 아니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들의 탄소중립 대응은 법제화된 규범 보다 앞서 있다. S&P글로벌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2030년까지, 아마존은2040년까지 스코프3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기업들도 이미 영향권에 들어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374사를 대상으로 진행해 지난 1월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 8.8%가 '공급망 및 납품업체로부터 스코프3까지 포함된 산정·관리 요구를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여기에 유럽연합(EU)의 CSRD(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의 기후 공시, IFRS(국제회계기준) 재단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의 공시 기준 등 올해 이후 도입될 전세계 주요 공시 기준이 스코프3를 일부 포함하는 방향으로 결정되는 추세라 기업들의 대응은 더 분주해질 전망이다. 정훈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은 "구체적 시점이나 파급경로까지 알 수는 없으나 결국 글로벌 기업들의 탄소배출 관리 대상이 스코프3까지 확산 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영향을 받는 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머니투데이



권다희 기자 dawn27@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