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외투기업 10곳 중 6곳 "한국 투자 확대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한상의, 외투기업 95개사 조사 결과
절반(53.8%) 넘게 "한국 증액투자 계획 수립"
기업들, 현금지원 요건 완화 등 제도개선 원해
대한상의 "공급망 재편, 투자유치 기회 삼아야"


파이낸셜뉴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국가 간 기업 투자 유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국내에 진출한 외투기업 10곳 중 6곳은 한국 투자 확대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재계에선 보다 공격적으로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전략 수립과 제도 보완을 촉구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숙명여대 오준석 교수팀, 코트라와 공동으로 국내에 진출한 외투기업 95개사의 '투자결정 요인'을 조사한 결과, 64.2%가 "향후 한국 투자를 늘릴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실제 증액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도 절반(53.8%)이 넘었다.

국내에 진출한 외투기업들은 한국 투자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 89.1%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한국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에 긍정적으로 조언하겠다고 응답한 기업도 71.4%에 달했다.

오준석 숙명여대 교수는 "우리나라 투자 동력이 약해지는 상황에서 외투기업들이 한국 투자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증액투자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나라 투자 환경이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라며 "보다 공격적으로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전략 수립과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업 절반(55.1%)은 한국 투자를 결정한 요인으로 '시장성장 잠재력'을 꼽았다. 이어 △투자 인센티브(53.9%) △내수시장 진출(49.4%) △우수인력 확보(44.9%) 순으로 많았다.

한국 투자 시 고려하는 정부 정책 요인으로는 '투자 인센티브 매력도(68.8%)'를 꼽은 외투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규제 애로 여부(64.5%), 행정·규제 관련 정보 취득 편의성(61.3%) 등이 뒤를 이었다.

투자 인센티브 제도 개선에 필요한 정책으로는 10곳 중 7곳(69.1%)이 '현금지원 요건 완화'와 '조세감면 강화'를 꼽았다. 이어 △펀드 등을 통한 금융조달지원 강화(57.4%) △입지 지원 확대(47.9%) 등이 꼽혔다.

대한상의 이상헌 규제혁신팀장은 "공급망 재편, 중국 제조업 이탈 등으로 인한 글로벌 투자 환경의 변화를 '투자 유치 확대' 기회로 인식해야 한다"며 "투자 촉진을 위해 인센티브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행정 인프라, 투자 지원 서비스 등 투자 유치 지원 시스템 전반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상의는 해외에 진출한 국내기업 135개사를 대상으로 해외 투자 결정시 고려 요인도 조사했지만,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국내 진출한 외투기업과는 달리 시장 성장 잠재력 외에는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43.7%) △저렴한 인건비(43.0%) △R&D 혁신 환경(26.7%) 등을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결정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투자 #외투기업 #유치 #공급망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