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검찰, 박영수 특검 압수수색...'50억 클럽' 수사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박영수 전 특별검사.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검찰이 박영수 전 특별검사(특검)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하며 이른바 '50억 클럽' 수사를 본격화했다. 곽상도 전 의원의 1심 무죄 판결 이후 수사팀을 보강한 검찰은 50억 클럽 의혹 규명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엄희준 부장검사)는 30일 박 전 특검과 양재식 변호사의 주거지와 사무실, 우리은행 본점·성남금융센터·삼성기업영업본부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결재 서류와 은행 거래 내역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하던 2014년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등이 대장동 개발사업 공모를 준비할 때 부국증권을 배제하는 등 컨소시엄 구성을 돕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청탁하는 대가로 50억원을 받았다고 보고 있다. 박 전 특검에게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수재 등의 혐의가 적용됐다. 양 변호사는 2016년 특검보로 박 특검을 보좌한 인물로 민간업자와 실무업무를 담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특검은 2015년 화천대유 설립 당시부터 국정농단 수사 특검으로 임명되기 전인 2016년 말까지 월 1500만원의 보수를 받으며 고문 변호사로 일했다. 박 전 특검 딸이 2015년 6월 화천대유에 입사한 뒤 대장동 미분양 아파트 1채를 당시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분양받았다는 의혹도 있다. 박 전 특검 딸은 검찰이 지난 1월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씨의 범죄수익은닉 혐의 관련 압수수색 대상에도 포함됐다.

이날 박 전 특검에 대한 압수수색은 지난해 7월 새 수사팀이 꾸려진 후 50억 클럽 관련자에 대한 사실상 첫 강제수사다. 그간 검찰의 대장동 수사는 대장동 배임 의혹과 50억 클럽 등 정·관계 로비 의혹 등 두 갈래로 진행됐다. 50억 클럽 의혹은 김씨 등 대장동 일당이 법조계 등 유력 인사들에게 50억원씩 지급하기로 했다는 의혹이다. 이 의혹은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2021년 10월 '50억 클럽' 명단을 공개하면서 본격적으로 불거졌다. 당시 박 의원은 대장동 사업구조를 설계한 정영학 회계사가 제출한 녹취록 등을 토대로 김수남 전 검찰총장, 권순일 전 대법관 등의 이름을 확인했다고 주장했고, 검찰은 이를 토대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지난해 2월 곽 전 의원을 구속기소한 후 별다른 진척이 없던 50억 클럽 수사는 곽 전 의원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변곡점을 맞았다. 컨소시엄 구성에 도움을 주고 아들을 통해 50억원(세후 25억원)을 받았다는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곽 전 의원이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국민적 공분이 일자 검찰은 수사 인력을 보강하는 등 수사팀을 재정비했다. 이달에만 수사팀에 검사 4명이 증원되면서 검사 수는 16명까지 늘었다.

박 전 특검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하며 50억 클럽 수사가 본격화하면서 명단에 이름이 거론된 권 전 대법관, 김 전 총장 등에 대한 수사도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 관계자는 "일률적으로 동시에 수사를 시작할 수 없는 만큼 진행 상황에 맞게 필요한 수사를 진행 중"이라며 "압수물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관련자 조사 등을 통해 사회적 이목이 집중된 50억 클럽 실체를 신속히 규명해나가겠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