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한미일, 6개월 만에 대잠전 훈련…핵항모 동원 북 SLBM 위협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4일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연합훈련

일 해상자위대 구축함 우미기리함 참가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한미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가 3~4일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대잠전 훈련과 수색구조 훈련 등 한미일 훈련을 실시한다.

이번 훈련 지휘관은 크리스토퍼 스위니(Christopher Sweeney) 미국 제11항모강습단장이다. 한국 해군은 이지스구축함 율곡이이함(DDG-992), 구축함 최영함(DDH-981) 및 대조영함(DDH-977), 군수지원함 소양함(AOE-51)을 파견한다.

미국 해군은 핵추진 항공모함 니미츠함(CVN-68), 이지스 구축함 디케이터함(DDG-73) 및 웨인 E.메이어함(DDG-108)이, 일본 해상자위대는 구축함 우미기리함(DD-158)이 참가힌다.

한미일 대잠전훈련은 지난 해 9월 시행 이후 6개월 만이다. 이번 대잠전 훈련은 최근 북한의 고도화되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수중 위협에 대한 한미일의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국방부 설명이다.

특히 이번 한미일 대잠전 훈련 시 한미 해군이 보유하고 있는 수중무인표적(EMATT)을 활용해 훈련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북한 수중 위협에 대한 3국의 탐지·추적·정보공유·격멸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한미일 수색구조 훈련은 재해재난 대응과 인도적 지원 훈련이다. 2008년 첫 실시 이후 2016년까지 진행하다 중단됐다. 한미일 안보협력 정상화 차원에서 7년 만에 재개되는 훈련이라는게 국방부 설명이다.

해군 7기동전단장 김인호 준장은 “이번 훈련은 고도화되는 북한 SLBM 등 수중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미일의 해양작전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북한의 어떠한 형태의 도발도 압도적이고 결정적으로 대응해 무력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3~4일 한미일 대잠훈련에 참가하는 일본 해상자위대 아사기리급 구축함 우미기리함 (출처=일본 해상자위대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