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여야, 세월호 참사 9주기 맞아 일제히 애도… "아이들 앞에 고개 들 수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 “사회 전반 안전 점검할 것”

야 “사참위 권고 이행 충실할 것”

여야는 16일 세월호 참사 9주기를 맞이해 일제히 희생자를 애도하고 유가족을 위로했다.

여당인 국민의힘 강민국 수석대변인은 국회 논평에서 “자녀, 가족, 친구를 가슴에 묻고 9년의 세월을 견뎌온 유가족과 생존자분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했다.

세계일보

15일 오후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 차려진 세워호 참사 9주기 광주시민분향소에서 한 시민이 분향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 대변인은 “세월호 참사가 우리 사회에 준 기억은 엄중하다”며 “일상에서의 안전은 저절로 지켜지지 않으며, 모두가 경각심을 갖고 최선을 다할 때만 지킬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오늘은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의 중요성을 되새기자는 의미로 제정된 ‘국민안전의 날’이기도 하다”며 “사회 전반의 안전을 점검하고, 미비한 제도를 개선해나갈 수 있도록 국민의힘과 윤석열정부는 더욱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강 대변인은 “팽목항 인근에 건립 중인 ‘국민해양안전관’이 오는 10월 개관하게 된다. 그곳에 먼저 어머니를 형상화한 조형물이 설치돼 바다를 앞둔 자리에 앉아있다”며 “그 어머니의 기다림은 이제 우리 국민 모두의 기억이 됐다”고 했다. 그는 “다시 한 번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생존자·유가족분들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9년이 지났음에도 유가족분들께 전할 적합한 위로의 말씀을 찾기 어렵다. 다시 한 번 모든 희생자분의 명복을 빈다”고 했다.

이 대표는 “304개의 세계가 무너진 그 날, 결코 잊을 수도 잊어서도 안 될 4월16일”이라며 “9년 전 그날 진도 앞바다에 국가는 없었다. 세월호 이후의 대한민국은 세월호 이전의 대한민국과 달라야만 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가 “각자도생 사회로 다시 회귀하고 있다. 아이들 앞에 고개를 들 수 없다”고 했다.

이 대표는 “아이들은 우리에게 ‘국가란 무엇이고 왜 존재하는지’에 대한 물음을 남겼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국가의 최우선 책무임을 일깨웠다”며 “한 톨의 의혹도 남기지 말자는 유가족의 외침은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우리 모두의 시대적 과제”라고 했다.

세계일보

세월호 9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 시민분향소에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한 국화가 놓여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대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의 제1 의무”라며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의 권고사항을 충실히 이행하는 일을 포함해 나라가 나라다울 수 있도록 정치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도 페이스북을 통해 “더디고 가혹한 9년의 시간 앞에 우리는 여전히 죄인이다. 아직도 우리 사회가 세월호 참사가 던진 질문에 제대로 답을 내놓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정부와 국회는 세월호의 아픔에 당리당략으로 접근하는 그 어떤 시도도 멈춰야 한다. 무한한 책임감으로 답을 내놓겠노라 약속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지난 9년간 이어져 온 세월호 참사 조사 과정을 두고 “매우 의미 있고 소중하다. 사실상 전무했던 우리나라 재난조사 역사의 시작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당연히 여러 시행착오도 있었을 것”이라며 “그럼에도 지난 9년간의 모든 노력과 과정은 유실되거나 중단되지 않고 반드시 결실을 맺어야 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유가족에 대한 2차 가해도 즉각 멈춰야 한다”며 “유가족들을 공격하는 반인륜적 행위에 행정당국이 막아서지 못할망정 그 일에 먼저 나서고 부추겨서야 되겠나”라고 질타했다. 그는 “우리 사회와 정치가 더 따뜻이 유가족들의 곁에 서고, 기억과 추모에 진심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배민영·최우석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