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출근·등교 늦었어요"…창원 시내버스 파업에 시민 '발동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세버스 임시 시내버스·요금 1천원 받은 임시택시 배치에도 역부족

시민 "불편 길어질까 걱정"…시 "추가 전세버스·택시 투입"

연합뉴스

시내버스 파업…임시 시내버스
(창원=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경남 창원지역 시내버스가 파업에 돌입한 19일 오전 창원 마산합포구 경남대·남부터미널 종점 버스 정류소 인근에서 '800번 시내버스 파업 임시 시내버스'라는 문구가 부착된 임시 버스가 우회전하고 있다. 2023.4.19 image@yna.co.kr



(창원=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출근·등교 시간 다 됐는데 눈이 빠지게 기다립니다."

경남 창원지역 9개 시내버스가 노조 파업으로 운행에 차질을 빚으면서 시민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파업에 돌입한 19일 오전 7시 20분께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남부터미널 종점 버스 정류장에서 학생과 시민 수십 명이 시내버스 파업 대체 교통수단을 기다리고 있었다.

안소민(15) 양은 "평소 같으면 10분에 한 대꼴로 학교 가는 버스가 오는데 20분 넘게 기다려도 오지 않는다"며 "학교 가는 방법을 생각해봐야겠다"고 말했다.

이 학생은 "파업 소식은 아침에 부모님께 들어서 알았지만, 막상 버스가 오지 않으니 답답하다"며 불편한 마음을 드러냈다.

시내버스가 멈춘 정류소에는 기본 버스와 동일한 번호판과 붉고 큰 글씨로 인쇄된 '시내버스 파업 임시 시내버스' 깃발을 부착한 관광버스 등이 대신했다.

부산지역 번호판을 부착한 대체 버스가 자주 목격됐다.

연합뉴스

버스 파업, 임차 택시 도입
(창원=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경남 창원지역 시내버스가 파업에 돌입한 19일 오전 창원 마산합포구 경남대·남부터미널 종점 버스 정류소 주변으로 '254번 버스 노선. 요금 1천원'이 부착된 택시가 지나고 있다. 2023.4.19 image@yna.co.kr


종이로 인쇄된 '○○○ 노선'과 '임차 택시' 깃발 등을 부착한 대체 택시도 보였다.

마산합포구 제2부두로 일대에서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 101번 버스 대체 택시를 탄 이시영(36) 씨는 "버스 앱(애플리케이션)을 열었는데 버스가 오지 않아 택시를 탔다"며 "대체 택시인지 모르고 탑승했는데 요금을 1천원만 받더라"고 전했다.

101번 버스 노선표와 동일한 노선의 택시 운행에 나선 60대 기사는 "버스 노선대로 주행해야 해서 적응이 좀 필요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창원시 성산구 아파트 밀집 지역 인근 한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60대 김모 씨는 "파업한다고 듣긴 했는데 혹시나 (대체 투입된 버스가) 한 대라도 올까 싶어서 잠시라도 있어 보려고 한다"며 "정 안되면 택시를 타고 가는 수밖에 없겠다"고 말했다.

이 정류장에 있던 일부 시민은 때마침 버스정류장 앞에선 택시를 타고 목적지로 향하기도 했다.

성산구 다른 버스정류장에 있던 안모(34) 씨는 "파업에도 전세버스가 투입된다고 해서 회사로 가기 위해 전세버스를 기다리는 중"이라며 "장기화한다면 출근길 불편이 길어질까 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8차례 임단협에서도 이견을 좁히지 못한 창원 시내버스 노사는 전날 오후 3시부터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마지막 조정 회의를 진행했다.

임금 인상률 등을 놓고 협상이 결렬되면서 노조는 이날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했다.

연합뉴스

창원시내버스 파업…임시 시내버스
(창원=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경남 창원지역 시내버스가 파업에 돌입한 19일 오전 창원 마산합포구 경남대·남부터미널 종점 정류소에 '시내버스 파업 임시 시내버스'라는 문구가 부착된 버스가 들어서고 있다. 2023.4.19 image@yna.co.kr


창원시는 우선 출·퇴근 시간대 임차 버스 142대와 공영버스 10대 등 버스 152대를 시내버스 노선에 투입한다.

택시 800대(개인·법인 포함)도 시내버스 노선에 배치했다.

imag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