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G7 정상회담

G7 ‘책임 있는 AI’ 목표로 ‘행동계획’ 첫 채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9~30일 디지털 장관 공동성명
챗GPT 등 이용환경 정비 방침확인


이달 말 열리는 선진 7개국(G7) 디지털·기술장관회의에서 ‘책임 있는 인공지능(AI)’ 실현을 위한 행동계획이 채택될 예정이다.

19일 요미우리신문(요미우리)은 G7 디지털·기술장관회의 공동성명 원안에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AI 관련 개인정보 유출과 가짜뉴스에 대처하고 신뢰 가능한 인터넷 환경을 촉진해 ‘챗 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게 정비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G7이 AI와 관련된 행동 계획을 채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요미우리에 따르면, G7은 성명을 통해 AI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중대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민주주의에 근거한 인간 중심의 신뢰할 수 있는 AI를 목표로 내세울 방침이다. 또한 현재 AI에 대해 법 제도, 사업자 간 의사소통 등을 통해 각국이 개별적으로 규제하고 있는 상황에서 G7이 기술과 평가 기준을 공유하고 일관성 있는 거버넌스를 지향한다. 이와 함께 AI가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의 분석을 참고해 생성형 AI의 잠재적 영향력에 대한 분석과 연구도 가속화하기로 했다.

G7은 AI 거버넌스 이외에 인터넷 공간에서 신뢰성 있고 자유로운 데이터의 유통, 차세대 이동통신 6G 등에 대해 별도 문서를 채택할 예정이다. 아울러 인터넷 공간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가짜뉴스 대책 사례집을 만들고 국가간 데이터 이전도 신뢰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도록 새 틀을 마련한다.

G7은 또한 일부 글로벌 거대 IT 기업의 인터넷 사업 독점화 현상에 대한 대응에 대해서도 협력한다. 올해 가을 예정된 G7 공정거래위원회 수장 회의에서 디지털 경쟁 환경에 대한 긴밀한 정보를 교환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내놓으려 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G7 디지털·기술장관회의는 의장국 일본의 주도하에 29~30일 일본 군마현 다카사키시에서 열린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