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주한미군, 전시 대비용 비축탄 우크라 반출 “美 국방부 요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2016년 9월 20일 대한민국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주한미군 기지 캠프 호비에서 한 군인이 훈련 중 155㎜ ‘이중목적 개량탄’(BBDPICM, base burn DPICM)을 운반하고 있다. 제3자 제공(미군 제2중대 가브리엘 젠코). 2023.3.7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한미군이 탄약류 등 비축물자 일부를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반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한미군은 20일 ‘한국 전쟁예비비축물자(WRSA-K)로 들여왔던 155㎜ 포탄까지 우크라이나로 반출됐다’는 주장에 관한 확인 요청에 “미 국방부는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해 비축분을 활용해 군사적 지원을 계속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주한미군은 일부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이런 노력을 지원해줄 것을 (미 국방부로부터) 요청받았다”고 했다.

구체적인 포탄 반출 시기나 규모에 대해선 “작전상·보안상 우려 때문에 군사 장비 이동에 대해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는다”며 확인해주지 않았다.

다만 주한미군 측은 서울신문에 전한 입장문에서 “(비축물자 일부 반출이) 우리 작전과 우리 동맹국인 대한민국을 방어한다는 철통같은 약속을 실행하는 능력에는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가 오늘 밤에라도 싸울 준비가 돼 있다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북한의 도발로 한반도 긴장이 날로 고조되는 가운데, 주한미군의 비축 포탄 반출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안보공백 우려도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신문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러시아의 침공이 이어지고 있는 바흐무트 최전선에서 155㎜ 견인 곡사포 M777 배치 후 사격 준비를 하고 있다. 2023.3.11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군사전문가인 김종대(연세대 통일연구원 객원교수) 전 정의당 의원은 2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미국이 주한미군의 전시비축물자까지 끌어다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바람에 155㎜ 포탄 비축량이 1주일치밖에 안 남았다고 주장했었다.

김 전 의원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100만발 이상의 155㎜ 포탄 재고가 이미 바닥났고, 다음 달 초면 화력전을 수행할 역량이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155㎜ 포탄 100만발에는 주한미군이 대한미국에서 저장해 놓고 있던 전시 비축탄까지 포함된 것으로 안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국방부가 확인해주지 않아 정확하진 않지만, 우리 군 탄약창에는 주한미군 탄약도 보관돼 있다. 주한미군의 전쟁예비비축물자(WRSA) 일부가 해외로 반출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이어 “미국은 작년부터 우리한테 ‘전시비축탄이 너무 부족하다’고 했다. 특히 155㎜ 포탄은 개전 초기 30일치는 보관하고 있어야 하는데 지금 일주일치 밖에 없다”고 김 전 의원은 지적했다.

권윤희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