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한미훈련에 실사격훈련 재도입 추진…주한미군, 정보력 우려돼"(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한미군사령관, 美 상원 출석…"北 7차 핵실험, 만약 아닌 언제냐의 문제"

"한미, 사이버전 역량 강화 MOU 체결…韓, 美우주군과의 훈련 참여 요청"

印太사령관 "北 고체연료 ICBM, 기존 미사일보다 빠르게 이동·발사 가능"

연합뉴스

러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
(워싱턴=연합뉴스) 폴 러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이 20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4.20 [상원 군사위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폴 러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은 20일(현지시간) "김정은은 7차 핵실험을 할 준비가 됐으며, 외부 개입이 없다면 북한이 또 핵무기를 터뜨리는 일은 '만약'이 아니라 '언제'냐의 문제다"라고 밝혔다.

러캐머라 사령관은 이날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핵무기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김정은의 의지는 확고하며 그는 신뢰할 수 있는 2차 타격 능력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2차 타격 능력은 적의 공격에 대해 핵무기로 반격할 수 있는 역량으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과, 적 공격을 감지하는 즉시 핵무기를 발사하는 '경보 즉시 발사'(LOW·Launch On Warning) 등이 포함된다.

이와 관련해 러캐머라 사령관은 청문회에서 "지난 1년여 동안 김정은은 여러 다른 역량을 보여줬으며 이 모든 게 2차 타격 능력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중국은 (핵실험을) 지지할 수도, 그러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 현재 중국은 러시아와 함께 유엔의 대북 제재 노력을 방해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대북 태세 강화를 위해 한미연합훈련에 실사격 훈련을 다시 도입하려고 하고 있지만 훈련 예산이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또 중국, 러시아, 북한이 정보전 기술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면서 정보 영역에서 주한미군의 경쟁력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사이버사령부와 한국 사이버사령부가 올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한반도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제3자의 개입과 영향력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군이 상호 운용성 강화를 위해 미국 우주군과 우주사령부의 훈련과 전쟁연습에 참여를 요청했다고도 밝혔다.

존 애퀼리노 인도태평양사령관은 서면 답변에서 최근 북한의 화성-17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에 대해 "진정한 능력을 분석하는 것을 어렵게 하려고 일부러 고각으로 발사했다"고 평가했다.

또 북한이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로켓 엔진을 시험했다면서 "효과적으로 작동한다면 북한이 기존 액체 연료 기종보다 미사일을 더 빠르게 이동, 발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애퀼리노 미국 인도태평양사령관
(워싱턴=연합뉴스) 존 애퀼리노 인도태평양사령관이 20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4.20 [상원 군사위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blueke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