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가계 대출은 주는데...중기·자영업자 대출 3개월 연속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대銀 중기대출 잔액 1878조8819억원
전월比 7조3449억원↑...증가폭도 커져


파이낸셜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연체율 상승이 은행권 주된 이슈로 부상하는 가운데 '약한 고리'로 지적받은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올 들어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폭도 지난 3개월 동안 꾸준히 커졌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총수신 잔액은 지난 4월 말 기준 1878조 881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말 1871조 5370억원이었던 것이 한 달 새 7조 3449억원 늘어난 것이다. 이는 가계에서는 빚 상환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이 대출을 늘린 영향이다.

실제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6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3월 었던 잔액이 지난 4월 말에는 677조 4691억원으로 3조 2970억원 줄어들었다. 구체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이 2조 2493억원 줄었고 개인신용대출이 1조 87억원 감소했다.

반면 기업대출 잔액은 늘어났다. 지난 4월 말 5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전월(714조 6749억원) 대비 5조 4029억원 늘어난 720조778억원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기업대출 중 대기업 대출보다도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권에서는 고금리에 경기 침체가 겹친 상황 속에서 자금력이 약한 중소기업과 자영업자가 향후 금융권 부실의 '약한 고리'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 은행권 전반적인 연체율이 높아지는 가운데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상환 능력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36%로 3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기업 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과 중소기업대출에서 연체율이 각각 전월 대비 0.04%p, 0.08%p 올랐다. 대기업 대출의 연체율은 전월 말과 같은 0.09% 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부문별로 봤을 때에는 가계대출(0.32%)보다 기업대출(0.39%) 연체율이 더 높았다. 기업대출 중에서도 특히 대기업(0.09%)보다 중소기업(0.47%) 연체율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한 달 새 대출 잔액은 대기업대출보다도 중소기업 대출에서 크게 늘었다. 지난 4월 말 소호대출을 포함한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605조4036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 149억원 늘어났다. 지난 1월 말(598조 1211억원)부터 3개월 연속 증가다. 이와 함께 증가폭도 1조 7467억원, 2조 5209억원, 3조 149억원 순으로 꾸준히 높아졌다.

대기업 대출 잔액 역시 114조 6742억원으로 전월(112조2861억원) 대비 높아졌지만 증가폭은 2조 3881억원으로 중소기업 대출 잔액보다는 다소 적게 늘었다.

한편 이날 집계에서 5대 시중은행의 총수신 잔액은 1878조 8819억원으로 1871조 5370억원 대비 7조 3449억원 늘었다. 정기예금과 정기적금 잔액이 각각 4443억원(805조 3384억원→805조 7827억원), 8970억원(37조 908억원→37조 9878억원) 늘어난 가운데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은 608조 9654억원으로 전월(619조 2650억원) 대비 10조 2996억원 줄었다. 주식 시장으로 대기성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요구불예금 잔액이 크게 감소했다는 평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