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외교무대 복귀하는 시리아…美는 "관계 정상화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백악관 "시리아 문제 해결 안돼…제재 유지"
러시아·이란 "자리 되찾은 시리아 정부 축하"
뉴시스

[다마스쿠스=AP/뉴시스] 바샤르 아사드(가운데) 시리아 대통령이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다마스쿠스의 하페즈 아사드 사원에서 열린 이드 알 피트르 기도회에 참석해 기도하고 있다. 전 세계 이슬람교도들은 이슬람 성월 '라마단'의 종료를 기념하는 '이드 알 피트르'를 맞는다. 2023.04.2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윤희 기자 = 반정부 인사들에 대한 고문 등 잔혹한 전쟁범죄로 비난받고 국제사회에서 퇴출된 시리아가 아랍연맹(AL)에 재가입해 12년 만에 국제무대로 복귀한다. 국제사회에서 '최악의 전쟁 범죄자'로 꼽히는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에게 면죄부를 주는 결정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은 이번 결정을 반대하며 시리아와의 관계 정상화는 없을 것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커린 잔피에어 백악관 대변인은 8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결정으로 모든 아랍연맹 회원국이 시리아와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것은 아니며 시리아 문제가 모두 해결됐다는 것도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의 파트너들은 시리아 문제 해결과 인도주의적 접근의 확대, 피난민들의 안전한 복귀 환경 등을 위해 직접적으로 개입할 예정이라고 말하고 있다"며 "문제 해결을 위한 아사드 정권의 의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또한 "미국은 아랍연맹의 계획에 대해 우리의 파트너들과 협력하고 있고, 우리는 아사드 정권과의 관계를 정상화하지 않을 것이란 점을 분명히했다"며 "행정제재 조치도 그대로 유지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앞서 국무부는 시리아의 아랍연맹 복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베단트 파텔 국무부 수석부대변인은 "현 시점에서 시리아가 아랍연맹에 복귀할 자격이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우리의 파트너들에게도 그러한 입장을 분명히했다"고 말했다.

반면 알사드 정권과 동맹 관계 국가들은 환영 성명을 내고 있다.

아랍권 매체 알자지라에 따르면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오랫동안 기다려온 걸음을 환영한다"며 "시라아가 '아랍 패밀리'로 돌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뉴시스

[암만(요르단)=AP/뉴시스]아이만 사파디 요르단 외무장관(가운데),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외무장관(왼쪽 2번째), 푸아드 후세인 이라크 외무장관(왼쪽), 사메 슈크리 이집트 외무장관(오른쪽), 파이살 메크다드 시리아 외무장관(오른쪽)이 지난 1일 요르단 암만에서 시리아의 아랍연맹(AL) 복귀를 논의하기 위한 지역협의회에 참석하고 있다. 아랍 국가 외교관들은 7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수단에서의 교전과 회원국 자격 정지 10여년 만에 시리아의 AL 복귀 문제를 긴급 논의할 것이라고 가말 루시디 AL 대변인이 5일 밝혔다. 2023.05.0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세르 칸아니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아랍 연맹의 자리를 되찾은 시리아 정부와 국민들의 성공을 축하한다"고 밝혔다.

2011년 3월 시리아 내전 발생 이후 50만명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했고 전쟁 전 2300만명에 달하던 인구의 절반이 집을 잃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시리아의 알 아사드 정권은 내전 발발 이후 반 정부 인사들을 상대로 전기 고문, 성폭행을 일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다마스쿠스 인근 반군 지역에 화학 무기를 살포하는 잔혹성을 드러내 국제사회로부터 큰 비난을 받았다.

시리아는 2011년 내전 초기 아랍연맹에서 퇴출당했고, 아랍 국가들로부터 경제 제재를 받았다. 국제사회에서도 사실상 외면받았다.

하지만 아랍연맹 외무장관들은 지난 7일 이집트 카이로의 아랍연맹 본부에서 표결을 통해 시리아의 회원국 복귀를 결정했다. 오는 19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리는 아랍연맹 정상회의를 앞두고 내려진 결정이다.

복귀 결정에 앞서 사우디는 지난 3월 중국의 중재로 시리아의 후원자인 이란과 관계 정상화에 합의했다. 지난달 12일에는 파이살 빈 파르한 알사우드 사우디 외교장관과 파이잘 메크다드 시리아 외교장관이 사우디 제다에서 만나 외교 관계 회복을 결의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ympathy@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