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美 사령관 "한미일 北미사일 정보 공유, 주한미군 통해 가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한국과 미국, 일본이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정보공유 작업이 주한미군 기지를 중심으로 이뤄질 것이란 언급이 나왔다.

찰스 플린 미 태평양 육군사령관은 10일(현지시간) 국무부가 개최한 온라인 기자 설명회에서 한미일 3국의 북한 미사일 정보 공유와 관련한 질문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다.

플린 사령관은 "인도·태평양에서 어느 곳이든 정보 공유, 연합 지휘소, 그리고 매일 함께 운영이 이뤄지고 있는 곳이라면 한국에 있는 (미군기지)가 있다"면서 "우리 주한미군은 통합직원, 통합본부 및 체제를 운영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매일 함께 생활하고, 일하고, 운영하고, 교육하고, 연습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평택=뉴스핌] 이형석 기자 = 14일 오후 경기 평택시 오산에어베이스에서 주한미군 우주군 창설식이 열리고 있다. 2022.12.14 leehs@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패트릭 라이더 미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이와관련한 언론 매체 질문에 "한미일 정상이 지난해 11월 만나 약속한 것에 따라, 현재 미 국방부는 한국, 일본과 함께 북한의 미사일 경고 정보 공유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노력은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유지하고 규칙에 기반한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한국군과 주한미군, 자위대와 주일미군이 각각 사용하는 레이더 등 지휘통제시스템을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를 통해 접속해 한미일이 미사일 정보를 즉시 공유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반면 RFA는 플린 사령관은 주한미군에서 북한 미사일 정보 공유가 잘 이뤄지고 있으며 한미일 미사일 정보 공유도 주한미군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암시했다면서 이에따라 3국 정보공유는 효율성을 고려해 인도태평양사령부 본부가 있는 하와이가 아닌 주한미군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kckim100@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