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전두환 전 대통령 |
[헤럴드경제(광주)=황성철 기자] 5·18 민주화운동 강경 진압의 ‘실제 책임자’를 규명하기 위한 핵심 쟁점인 ‘지휘체계 이원화’ 의혹이 43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풀리지 않은 숙제로 남아있다.
5·18 학살 주범이라고 불리는 전직 대통령 고(故) 전두환 씨는 생전 자신은 5·18과 관계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그는 5·18 당시 보안사령관과 중앙정보부장 서리에 불과했던 만큼 5·18을 진압한 계엄군 부대의 지휘권이 없었다는 논리였다.
실제 계엄령이 발동된 상황에서 군의 공식 지휘계통은 ‘계엄사령부→육군본부→2군사령부→전교사→31사단→일선 부대(공수여단)’이었다.
공수여단이 독자적으로 과격 진압 방식을 택했다거나 살상 행위, 실탄 분배·발포와 관련한 보고가 공식 지휘계통으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에서다.
공식 지휘계통도 아니었던 정호용 특전사령관이 열흘간 이어진 5월 항쟁 기간 최소 4차례 광주를 방문했다.
장세동 전 안기부장 |
또, 전두환의 심복으로 불리던 장세동 당시 특전사 작전참모도 5월 항쟁 기간에 광주에 머물렀던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당일은 효천역 인근에서 계엄군 간 오인사격이 벌어졌다. 이 소식을 들은 장씨가 전교사 작전참모실에 와서 ‘상황전파를 잘못해 우군끼리 사고가 났으니 처벌받아야 한다’고 했다.
장세동은 5·18 항쟁 사흘 전인 5월 15일과 집단 발포가 자행된 21일, 효천역 오인사격이 발생한 24일, 최후 진압 작전이 벌어진 26-27일 광주에 머물고 있었다.
장씨의 상급자였던 정호용 전 특전사령관은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 자신은 별다른 권한이 없었다고 밝혔다.
5·18 관계자는 “전두환의 최측근인 장세동이 광주에서 비공식 지휘계통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인지 심도 있게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5·18 책임자를 규명하는 열쇠가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hwan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