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단독] 글로벌 수소시장 2050년 12조달러···국내 기업도 50조 베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열악한 인프라에도 기업 투자 확대

"전기차처럼 급성장 머지 않았다"

SK, 인천·보령에 생산공장 짓고

현대차 中수소연료전지 기지 완공

포스코·롯데·한화도 공급망 구축

수소 생산서 저장·유통·운송까지

'밸류체인 확보' 수조원 통큰 투자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액화수소 생산으로 수소의 대용량 유통이 가능해지면서 국내 수소산업도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수소 모빌리티를 시작으로 수소연료전지, 그린수소 생산 등 수소산업 전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수소는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을 위한 필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수소경제 규모는 2050년까지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10% 이상으로 연간 12조 달러(약 1경 5686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기업들은 수소 생산부터 저장·유통·운송·활용까지 전 수소밸류체인을 확보하기 위해 조 단위 투자에 나서며 시장 선점을 위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2030년까지 SK·현대차·포스코·롯데·두산 등 주요 5개 회사의 수소산업 투자 금액은 50조 원을 훌쩍 넘는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SK다. SK그룹은 총 18조 5000억 원을 투자해 SK E&S를 중심으로 수소 생산·유통·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가치사슬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2026년까지 수소 공급 능력을 연 28만 톤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연말까지 SK인천석유화학단지에 연 3만 톤 규모의 액화수소 공장을 완공하고 2026년까지 보령 LNG 터미널 인근 지역에서 블루수소를 연간 25만 톤 생산할 예정이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 E&S는 글로벌 수소 전문 기업인 미국 ‘플러그파워’와의 협력을 통해 중국·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으로도 보폭을 넓힌다. SK㈜와 SK E&S는 2021년 플러그파워에 1조 8000억 원을 투자해 지분 약 10%를 확보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선 바 있다. SK E&S 관계자는 “액화수소 생산은 수소경제의 또 다른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민간 기업 최초로 LNG 밸류체인을 완성한 경험을 살려 미래 에너지 생태계도 주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수소차는 물론 수소연료전지 사업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공급 능력을 연간 70만 기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0년부터 수소연료전지 양산을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중국 광저우에 해외 첫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생산 기지를 완공했다. 이 공장을 전략적 요충지로 삼아 현지 수소차 시장 선점은 물론 향후 발전용 사업까지 저변 확장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수소 승용·상용차,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판매 확대는 물론이고 철도·트램·선박·도심항공기·발전 등으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사업 다각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포스코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포스코는 2050년까지 700만 톤의 수소 생산 체계를 구축해 그룹 내 철강과 발전 분야에 필요한 수소 500만 톤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대외 발전소와 수소충전소, 산업용 등에 필요한 수소 200만 톤을 공급하는 등 글로벌 수소 공급망 구축 로드맵을 수립했다.

롯데는 2030년까지 120만 톤 규모의 청정수소 생산 등 전 밸류체인 구축에 나섰다.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도 확대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합작사를 설립한 에쿼리퀴드코리아와 암모니아 분해 및 액화수소에서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해외에서 수입한 청정암모니아의 크래킹 사업에 나서고 이를 통해 생산된 수소는 발전용·모빌리티용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또 현재 합작사를 통해 진행 중인 기체수소 사업을 액화수소까지 확장하고 전국으로 모빌리티용 수소의 시장 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다.

HD현대는 2030년까지 해상과 육상에서 독자적인 수소 밸류체인을 구축할 예정이다. HD한국조선해양 등은 해상수소 생산 플랫폼, 액화수소 운반선 등을 통해 그린수소를 해상에서 생산·저장하고 육상으로 운송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미국선급협회(ABS)와 드레스덴공대 등 14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다음 달부터 대형 액화수소 화물창 기술 공동 개발에 착수하기로 했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지난해 4월 독일에 설립한 HD유럽연구센터를 거점으로 공동 연구 사업 참여를 기획했다”며 “이번 사업 수행을 통해 수소 화물창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글로벌 표준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뿐만 아니다. 한화는 2030년까지 1조 3000억 원을 투자해 수소산업의 밸류체인을 완성한다. 한화솔루션이 생산과 보관을 맡고 큐셀 부문이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한 재생에너지와 케미칼 부문의 수전해 기술을 연계해 그린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하다는 구상이다. 수전해는 물을 전기분해해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때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를 이용해 생산한 수소를 그린수소라고 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소산업은 당장 수요가 크지 않고 기술 투자의 단계가 많지만 전기차 시장처럼 급성장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며 “대부분의 기업들이 수소 관련 사업부를 신설하고 미래 시장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불철주야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민주 기자 parkmj@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