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청년농과 스마트팜이 미래 농업 경쟁력이자 농촌 고령화 해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7년까지 3만 청년농 육성 목표
지원 대상 늘리고, 스마트팜 교육 확대
한국일보

권재한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이 29일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열린 '청년농업인 현장간담회'에서 정부의 청년농업인 육성 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농업은 ‘과거 산업’이 아니에요. 스마트 기술을 통해 ‘미래 산업’으로 빠르게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좁은 경지 면적과 고령화로 한국 농업의 국제경쟁력은 그간 낮았지만, 세계적 수준의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다면 앞으론 다를 겁니다.”

29일 전북 김제시에 위치한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만난 권재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스마트팜 보급 확대와 청년농업인 육성은 한국 농업 경쟁력을 높일 핵심 요인”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농식품부가 전국 4곳의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연간 200여 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20개월 동안 스마트팜 ‘창농(귀농해 창업)' 교육을 제공하고, 2027년까지 3만 명의 청년 농부를 육성하기로 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해당 규모는 전체 농민의 3% 수준이다.

권 실장은 “2027년 이후에도 유입세가 계속되면 2040년엔 청년농업인 비중이 10%까지 높아질 것”이라며 “영농 진입부터 전문 농업인으로 성장하는 시기까지 생애 전 주기에 걸친 밀착 지원으로 반전의 물꼬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그가 '반전'을 강조한 건 청년농업인 규모가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어서다. 2010년 3만3,000명(전체의 2.8%)이던 청년농업인 수는 현재 1만 명 아래(지난해 7,000명·0.7%)로 떨어졌다.

그는 “그간 여러 방안을 내놨지만 청년들이 느끼기엔 부족하지 않았나 싶다”며 “농지 확보와 시설‧장비 구매를 위한 자금 지원, 창업에 따른 초기 소득 감소 우려를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둘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실태조사에서 청년농업인은 농지‧시설자금 부족(37%)과 적은 소득(19.9%)을 주요 애로 사항으로 꼽았다.

농식품부는 올해 소득 안정을 위한 영농 정착지원 사업 대상(4,000명)을 두 배 늘리고, 지원액도 최대 월 110만 원(기존 100만 원)으로 높였다. 스마트팜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농업인에게 농지‧시설을 지원하는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과 스마트팜 영농이 가능한 부지를 제공하는 농업스타트업단지도 신규 조성 중이다.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은 농지은행이 갖고 있는 농지에 스마트팜 시설(400평 규모)을 설치한 뒤 청년농업인에게 장기 임대하는 방식이다.

권 실장은 “청년들이 보다 쉽게 스마트팜 창업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이를 통해 심각한 농촌 고령화 문제도 연착륙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제= 변태섭 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