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성하고 재발 방지책 마련해야”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5일 국회에서 열린 ‘권력형 성범죄: 안전한 민주당으로 가는 길’ 토론회에 참석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박 전 위원장 페이스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5일 “‘가해자 온정주의’를 버리지 못하고 피해자에게 낙인을 찍는 지금 정치로는 ‘권력형 성범죄’를 해결하지 못한다”며 “민주당은 피해자 편에서 지속적인 문제 해결 노력을 하지 않은 데 반성하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전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권력형 성범죄: 안전한 민주당으로 가는 길’ 토론회에서 “박완주 의원을 제명했다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숨졌다고 이 일들이 끝났다고 말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전 위원장은 “(위원장 재직 당시) 박 의원 성추행 사건을 처리하며 당내에 성범죄 대응 시스템이 없다는 사실에 크게 충격받았다”며 “민주당은 이미 수많은 권력형 성범죄 사건으로 국민 신뢰를 잃은 정당이었는데도 말이다”라고 지적했다.
박 전 위원장은 “당내에서 성범죄가 발생하고 여론 뭇매를 맞을 때는 납작 엎드려 사과했지만 화살이 지나가면 근본적인 변화는 없었다”며 “늘 그래 왔기에 몇 번이고 성폭력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고 짚었다.
박 전 위원장은 근본적인 권력형 성범죄 재발 방지책으로 △당내 젠더폭력센터 위상 강화 △성폭력 사건 조사 소요 시간 명시 △피해자 보호·사후 지원 △국회법 개정 △당내 성 평등 교육 의무화·강화 등을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상민 의원도 참석해 “민주당이 인권과 민주주의를 최고 가치로 여기는 정당이라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못한 면이 너무 많다”며 “우리 당 최고 논리는 진영 논리”라고 지적했다. 지금 민주당은 선거에 이기기 위해서라면 상대를 상처 주고 악마화하고 음모론을 퍼트리는 등 행위마저 거리낌 없이 저지른다는 것이다.
한편 박 전 위원장은 권력형 성범죄를 대하는 당 안팎의 각성을 요청하는 ‘안희정 사건’과 ‘박완주 사건’ 피해자 편지를 대독하기도 했다. ‘박원순 사건’ 피해자도 “또 다른 아픔을 막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간접적으로 전해 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