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라임] 여전히 높은 체감 물가…6월 물가상승률 2.7%
<출연 :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최근 소비자 물가가 뚜렷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휘발유 등 석유류 가격이 떨어진 영향이 컸다는 분석입니다.
그렇지만 서민들의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데요.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지?
<질문 1>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2.7% 오르는데 그쳤습니다. 21개월 만에 2%대 진입한 건데요. 물가 상승 압력이 떨어진 이유가 뭔가요?
<질문 2> 물가상승률이 지난 1월 5.2%를 기록한 이후에 5달째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5월 3.2%에서 6월 2.3%로 떨어졌는데요. 여전히 장보기가 무섭다는 분들이 많아요. 통계와 체감이 왜 차이가 나는 건가요?
<질문 3> 서민의 대표 음식인 라면 가격이 고공 행진입니다. 라면 소비자물가 지수가 123.95로 작년 같은 달과 대비해 13.4% 상승했습니다. 이번 달 라면 제조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내리는데,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일까요?
<질문 5> 정부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4%로 제시했습니다. 기존 1.6%보다 0.2%p 낮춘 건데요. 하향 조정 배경>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6> 정부가 물가 안정과 경기 대응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재정 여력이 되는가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질문 7> 정부는 추경 없이 정책금융과 공공기관 등을 통해 '15조원+α'의 추가 재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입니다. 일각에서 추경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자 추경호 부총리가 "경기가 우려된다고 추가로 빚내서 경기 진작용으로 재정을 투입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했죠. 한은이 금리를 동결하고, 미국이 (현지시간으로 25일) 0.25%p 인상할 경우 한미 금리차가 사상 최대인 2%p까지 벌어지게 됩니다. 때문에 한은의 셈법이 복잡할 것 같은데요?
<질문 10> 지난달 영국과 노르웨이가 예상보다 큰 폭인 0.5%p의 금리 인상을 단행해 시장을 놀라게 했죠. 지난달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올해 들어 기준금리를 가장 많이 올렸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는데, 시장 분위기가 어떻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연 :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최근 소비자 물가가 뚜렷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휘발유 등 석유류 가격이 떨어진 영향이 컸다는 분석입니다.
그렇지만 서민들의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데요.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지?
이 같은 물가 하락세가 이달 기준금리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리 경제 전반에 대해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2.7% 오르는데 그쳤습니다. 21개월 만에 2%대 진입한 건데요. 물가 상승 압력이 떨어진 이유가 뭔가요?
<질문 2> 물가상승률이 지난 1월 5.2%를 기록한 이후에 5달째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5월 3.2%에서 6월 2.3%로 떨어졌는데요. 여전히 장보기가 무섭다는 분들이 많아요. 통계와 체감이 왜 차이가 나는 건가요?
<질문 3> 서민의 대표 음식인 라면 가격이 고공 행진입니다. 라면 소비자물가 지수가 123.95로 작년 같은 달과 대비해 13.4% 상승했습니다. 이번 달 라면 제조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내리는데,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일까요?
<질문 4> 물가상승률 둔화 흐름이 계속 이어질 수 있을까요? 하반기 물가를 좌우할 주요 변수가 있을까요?
<질문 5> 정부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4%로 제시했습니다. 기존 1.6%보다 0.2%p 낮춘 건데요. 하향 조정 배경>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6> 정부가 물가 안정과 경기 대응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재정 여력이 되는가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질문 7> 정부는 추경 없이 정책금융과 공공기관 등을 통해 '15조원+α'의 추가 재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입니다. 일각에서 추경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자 추경호 부총리가 "경기가 우려된다고 추가로 빚내서 경기 진작용으로 재정을 투입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시장에서는 물가 상승세가 당분간 꺾일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은의 기준 금리 운영에 여유가 생겼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 오는 13일 열리는 한은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4차례 연속 동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9>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했죠. 한은이 금리를 동결하고, 미국이 (현지시간으로 25일) 0.25%p 인상할 경우 한미 금리차가 사상 최대인 2%p까지 벌어지게 됩니다. 때문에 한은의 셈법이 복잡할 것 같은데요?
<질문 10> 지난달 영국과 노르웨이가 예상보다 큰 폭인 0.5%p의 금리 인상을 단행해 시장을 놀라게 했죠. 지난달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올해 들어 기준금리를 가장 많이 올렸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는데, 시장 분위기가 어떻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