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8일 “이권 카르텔, 부패 카르텔에 대한 보조금을 전부 폐지하고 그 재원으로 수해 복구와 피해 보전에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경이라는 선택지를 배제하기 위한 발언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불필요한 예산은 삭감하는 식으로 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해 재난에 대응하면서 건전 재정은 유지하겠다는 뜻이다.
![]() |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29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야당선 “추경 당위성 분명”
그러나 기상청이 이날부터 19일까지 제주 산지와 일부 강수 집중 지역에 350㎜ 이상의 폭우를 예고하는 등 호우가 전국적으로 끊이지 않으면서 야당을 중심으로 추경 요구는 거세질 예정이다. 이날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폭우피해 추경을 해야 할 당위성이 더 분명해졌다”며 “각 상임위에서도 추경 편성에 적극적으로 함께 노력해달라”고 말했다. 추경 요건엔 자연재해도 포함돼있다.
![]() |
17일 충남 부여군 부여읍 자왕리 일대 수박 재배 비닐하우스 속 수박이 침수 피해로 진흙탕 속에 널브러져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획재정부는 추경 가능성은 배제한 채 집중 호우로 인한 피해 지역을 즉각 지원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에 대한 준비에 들어갔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호우로 인한 재산 피해를 조사하고 있는데 집계가 끝나는 대로 기재부는 재정을 신속히 투입할 예정이다. 앞서 윤 대통령은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정책 수단을 모두 동원해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하라”고 지시하는 등 특별재난지역 선포도 예고한 상황이다.
━
정부, 재정 지원 준비 “재원 충분”
특별재난지역 선포 때엔 사유‧공공시설 피해 복구비의 50~80%를 국비로 지원한다. 정부 각 부처에 편성된 재난대책비가 우선 배정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 2000억원, 행안부 1200억원 등을 모두 더하면 올해 예산 기준으로 3790억원가량을 쓸 수 있다. 1조원에 달하는 행안부의 재난안전특별교부세도 있다. 이미 행안부는 응급 복구와 이재민 구호를 위해 106억5000만원을 긴급 지원키로 했다. 추가로 수해 지원 등에 필요한 곳에 행안부 판단에 따라 1조원 내에서 지출이 가능하다.
![]() |
신재민 기자 |
기재부 차원에선 예비비 투입 검토에 들어갔다. 이재민에 대한 긴급생활지원금이나 피해 복구 등에 예비비 활용이 가능하다. 재난대책을 위한 목적 예비비가 올해 2조8000억원으로 책정됐고, 일반 예비비까지 합치면 총 4조6000억원까지 활용 가능 재원이 늘어난다. 국가재정법에 따라 재난 등 비상사태 때는 내년도 예산 1조5000억원을 끌어와 사용할 수도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호우로 인한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 봤을 때 가지고 있는 재원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며 “재난으로 인한 추경은 지금껏 2002년 태풍 루사, 2003년 태풍 매미, 2006년 태풍 에위니아 등 세 번뿐이었는데 당시와 비교했을 때 피해 규모가 크다고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