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초등교사 극단선택…교원단체 한 목소리 “진상규명·재발방지 마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교총 “추측성 이야기 난무…속히 진상규명”

교사노조 “진정한 애도와 사실 확인 필요”

전교조 “교권침해에 종합 지원대책 필요”

[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한 사실이 밝혀지며 교원단체가 해당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데일리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정성국 회장 및 임원들이 서울 초등학교 교사 사망과 관련, 관계당국의 철저한 진상규명 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성국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층) 회장은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오후 밝혀진 한 선생님의 안타까운 죽음에 전국 교사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슬퍼하고 자기 일처럼 분노하고 있다”며 “전국의 모든 교육자와 함께 삼가 고인의 명복을 간절히 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한 교사가 학부모의 악성적·지속적인 항의 등으로 인해 스스로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정 회장은 온라인을 통해 제기되는 온갖 추측성 이야기를 막아내기 위해 철저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각에서는 숨진 교사가 학교폭력 담당 교사라는 주장을 하기도 관련 학부모가 정치인의 가족이라는 설 등 추측성 이야기가 난무했다”며 “시간이 지날수록 의혹은 커지고 당국에 대한 신뢰는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만큼 이유와 원인을 철저히 수사하고 하루 속히 진상을 밝힐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그는 국회와 교육부에 교원이 교권침해에 대해 정당한 생활지도이 가능하도록 법과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회장은 “국회는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로부터 정당한 생활지도를 보호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즉시 통과시킬 것을 촉구한다”며 “교육부는 교원이 교권침해에 대응해 실질적으로 할 수 있는 지도·제재·조치 방법을 명시한 장관 고시안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데일리

김용서 교사노동조합연맹 위원장이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전국초등교사노동조합·서울교사노동조합 주최로 열린 신규 교사 사망 사건 및 사실 확인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교사노동조합과 전국초등교사노동조합은 이날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용서 교사노조연맹 위원장은 “교사노조에서 5월에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1만5000여명의 응답자 중 4분의 1이 정신과 상담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고 대답했다”며 “지금 유가족과 전국의 교사 및 각 교육 주체들에게 필요한 것은 진정 어린 애도와 명확한 사실 확인”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안의 원인에 대해 시시각각으로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돌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들은 혼란에 빠져있다”며 “교사노조는 앞으로 교육청 및 정부 당국이 진정성 있는 태도로 이번 사안의 사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는지 지속적으로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서울지부 역시 이날 성명을 통해 “가장 안전해야 할 학교에서 가장 폭력적인 방식으로 구성원들을 떠나보내고 있다”며 “위정자들의 무능과 관리자들의 무책임에 더해 경쟁 사회의 압력과 갈등을 개인이 오롯이 감당해야 하는 학교 현실에서 한 교사의 안타까운 죽음을 목도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철저한 진상 조사와 안전하게 교육활동을 할 수 있는 책임 있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기 바란다”며 “코로나19 이후 시한폭탄 같은 학급의 위기 상황을 우려하며 공동체적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체계가 시급하게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