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사망 초등교사’ 둘러싼 소문 증폭…유족 “진실 밝혀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는 각종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정치인 집안 학부모가 고인을 괴롭혔다’는 글이 돌면서 몇몇 정치인은 “나와 관계없는 일“이라는 해명을 올리기도 했다. 고인의 유족들은 “여러 의혹으로 더 힘든 상황”이라며 고인을 둘러싼 의혹들이 분명하게 밝혀지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숨진 교사의 유족은 20일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교사노동조합연맹과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 이 상황을 직면하기도 어려운데 여러 밝혀지지 않은 의혹들로 유가족이 더욱 힘들어하고 있다”며 의혹 규명을 촉구했다.

세계일보

서울 초등학교 교사 사망 유가족, 서울교사노동조합, 전국초등교사노동조합원들이 20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고인을 애도하며 교육청의 책임있는 사실확인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족 대표로 참석한 고인의 외삼촌 A씨는 “교육 현장인 직장에서 생을 마쳤다는 것은 그만큼 알리고자 했던 뭔가가 있었다는 이야기 아니겠나”라며 “흔히 말하는 학부모의 갑질이 됐든 악성 민원이 됐든,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가 됐든 그것이 이번 죽음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밝혀져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저희 조카를 죽음으로 내몰았던 학교의 교육 환경들, 잘못된 것이 있다면 이번 기회에 고쳐야 한다고 본다“며 “조카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제2, 제3의 억울한 죽음이 학교에서 나오지 않도록 힘을 모아달라”고 말했다.

A씨는 고인의 죽음이 개인적인 일로 치부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일부 언론은 고인의 일기장에 평소 남자친구 문제 등으로 우울증을 호소했다는 내용이 있다고 보도했다. A씨는 “이런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우려스러운 것은 개인적인 일로 치부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공적인 공간인 학교에서 이뤄진 것인데 다른 문제로 치부하면 학교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도 안 된다”고 말했다.

A씨는 또 교사의 죽음과 학부모 ‘갑질’의 연관성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밝혀져야겠지만 어느 학교에도 다 있다고 들었다“며 “1학년은 손이 많이 가고 학부모도 많이 찾아오고 민원이 많을 텐데 새내기 교사에게 맡겼다는 것 자체가 갑질 내지는 업무 스트레스에 내던져졌다고 본다”고 답했다.

한편 SNS에서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의 손자녀가 이번 사건에 연루됐다는 소문이 돌자 한 의원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의원은 “나는 손자, 손녀가 4명인데 해당 학교에 다니는 아이는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문 당사자인 국민의힘 김성주 서초구의원도 언론 인터뷰를 통해 “자녀는 20살, 중3”이라며 아무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밖에 고인이 평소 학교폭력 관련 업무를 맡아왔고, 해당 반에서 수차례 담임교체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으나 해당 학교는 “모두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망 전 교육청에 불려갔다는 소문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검정 정장 차림으로 1인 시위를 벌인 이소희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평택송탄지회장은 “현재 루머가 밤새도록 돌아다녀 교사들과 학부모들이 많은 괴로움을 느끼고 있다”며 “교육청에서 지금까지 밝혀진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밝혔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김유나·이민경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