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吳 "강남집값 억제" 엄포에도…신고가 속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강남권 재건축 추진 아파트를 중심으로 신고가를 경신하는 단지가 속속 늘고 있다. 사진은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강남 일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서울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강남 일대 집값을 억제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음에도 집값 상승세가 멈추지 않는 모양새다.

23일 직방에 따르면 최근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는 강남 재건축 단지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4차 전용면적 208.65㎡는 지난달 말 64억원에 매매되며 신고가 기록을 다시 썼다. 직전 최고가는 2021년 1월 52억7000만원이다. 2021년 1월 거래 이후 이뤄진 첫 거래에서 11억3000만원 가격이 오르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압구정1구역에 포함된 미성1차도 최근 44억원에 신고가 기록을 다시 썼다. 전용면적 153.36㎡는 지난달 말 44억원에 손바뀜이 이뤄졌다. 2019년 12월 직전 최고가 31억8000만원보다 12억2000만원 비싸게 팔렸다.

압구정2구역과 3구역에서도 신고가 행진이 이어졌다. 2구역의 신현대 11차 전용면적 183.41㎡는 63억원에 거래가 이뤄졌다. 직전 신고가는 지난 3월 기록한 60억원이다. 3개월 만에 3억원이 뛰었다.

3구역에 포함된 현대10차 전용면적 108.15㎡는 지난달 초 37억원에 신고가를 찍었다. 직전 최고가는 2021년 2월 기록한 31억9000만원이다. 압구정동 인근의 한 공인중개사는 "이 일대는 매물 희소성이 높아서 집주인이 팔겠다고 하면 사려는 사람들이 항상 대기 중"이라며 "주위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이라고 해도 대세 상승을 막지는 못한다"고 말했다.

매일경제

재건축 단지에서 비롯된 신고가 행진은 강남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가는 모양새다. 강남구 삼성동 래미안삼성2차 전용면적 101.38㎡는 이달 초 23억8000만원에 신고가를 기록했다. 2019년 5월 직전 신고가 19억원 대비 4억8000만원이 올랐다.

오 시장은 지난 3일 열린 '취임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강남 집값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는 "강남 집값을 잡는 게 서울 시내 전체 집값을 잡는 첩경이고 전국 집값이 불필요하게 오르는 걸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한다"며 "강남 집값이 오르는 건 최대한 억제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해법에 대해 오 시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제도 등 여러 수단들을 동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서울시의 이 같은 의지에도 강남 일대 집값이 상승하는 것은 재건축 사업이 가시화되고, 대출 규제나 금리 인상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중산층·저소득층과 달리 압구정 일대 수요자는 그 충격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며 "그동안 불투명했던 압구정 일대 재건축이 신속통합기획 등을 통해 '6~7년 내 입주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불확실성이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종합부동산세, 양도세 등 세금 부담이 줄어든 점도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꼽힌다. 집주인 입장에서는 보유 부담이 줄어들면서 급매물로 내놓을 필요가 사라졌다. 매수 입장에서는 세금 부담이 줄어든 만큼 더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설 수 있게 됐다.

매일경제

단기적으로 집값 상승을 억제할 수단이 마땅치 않은 만큼 서울시 고민은 깊어질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신고가는 취소되는 경우도 있고 아직 실질적으로 거래량이 계속 있는 건 아니다. 시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중·장기적으로는 공급을 늘리겠다는 입장이다. 신속통합기획, 모아타운 등 핵심 사업이 빠르게 추진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박 교수는 "강남 일대 집값은 잡으려고 하는 것보다 이를 인정하고, 가격이 오르는 원인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결국 개발 속도를 더 높이고 공급을 더욱 확대해서 희소성을 떨어뜨리는 것이 적절한 대응책"이라고 말했다.

[정석환 기자 / 이희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