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9 (화)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주택시장 공급지표 악화…2~3년 뒤 공급 가뭄, 집값 상승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침체됐던 부동산 시장이 서울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기지개를 켜는 모양새지만 주택시장의 공급지표는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1~6월) 착공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이 났고, 인허가 건수도 27% 넘게 줄어들었다. 이에 건설·주택업계는 2~3년 뒤 공급난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으며, 공급 부족에 따른 집값 급등을 우려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반기 착공 반토막에 인허가도 27% 감소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 주택 착공은 9만2490가구로 전년 동기(18만8449가구) 대비 무려 50.9%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아파트는 6만9361가구, 아파트 외 주택은 2만3129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4%, 52.5% 줄었다.

상반기 주택 인허가 실적은 18만9213가구로 전년 동기(25만9759가구) 대비 27.2%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7만2297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4.8%, 지방은 11만691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8.5%가 각각 줄어들었다.

아파트 입주가 통상 인허가 기준 3~5년 뒤, 착공 2~3년 뒤에 이뤄지는 점을 감안하면 인허가와 착공 실적 급감은 향후 주택 공급 부족으로 직결될 공산이 크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은 2025년 입주 물량이 19만353가구로 2024년 대비 46% 줄어들고 이후 2026년 4만3594가구, 2027년 4770가구로 공급 가뭄 수준을 보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자료=국토교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멸실 주택 수가 늘고 있다는 점도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걱정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멸실 주택은 기존에 있던 집이 철거 등의 이유로 사라진 주택을 의미한다. 멸실 주택이 늘어나면 그 자체로 주택 수가 줄어든 것으로 봐야 한다.

멸실 주택은 2021년 14만6396가구로 2020년 멸실주택 수 증가율(4.2%)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으며,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의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준공 후 30년 이상 경과한 노후 주택은 수도권 기준 2010년 31만7000가구에서 2020년 124만8000가구로 급증했고, 2021년에는 1481만8000가구로 더 늘어나기 때문이다.
공급과 수요 불균형, 향후 집값 급등 우려
이런 가운데 민간 건설사의 주택수주액은 감소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건설수주액은 지난 1월 20조5652억원을 기록한 뒤 2월 13조4494억원, 3월 13조5427억원, 4월 10조9126억원 등으로 4개월 연속 급감했다. 총 누적 건설수주액은 58조469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4% 감소했다.

주택 공급 부족은 향후 부동산 가격 급등을 불러올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실제로 2012~2013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에 빠졌고, 공급이 부족해지자 1~2년 뒤 집값 상승으로 이어진 바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전국에는 총 18만7342가구의 아파트가 입주했다. 이는 1990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저치였다. 이후 2013년에도 19만9490가구의 입주 물량을 보였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10년간 평균 입주 물량이 31만9923가구였던 것에 비하면 40%가량 줄어든 것이다.

2014년에는 27만4921가구로 공급물량이 회복되기 시작했지만, 동시에 집값이 뛰기 시작했다. 2012년(-4.77%), 2013년(-0.29%) 하락했던 집값이 2014년 들어 3.48%, 2015년 6.88%로 치솟았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면서 인허가와 착공 소식이 줄었는데, 공사 기간이 통상 2~3년 소요된다고 볼 때 향후 3년 전후로는 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결국 수급불균형으로 인해 집값은 현재보다 더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차완용 기자 yongch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