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라임자산운용 환매 중단 사태

금감원, 미래에셋證 '라임 의혹' 조준···국회의원 특혜 진실 밝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감원 재조사 뒤 환매 권유 이유 파악

김상희 강력 반발···"악의적 정치 공작"

미래에셋證 "판매사 아닌 운용사 문제"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더불어민주당 다선 국회의원 등에게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를 권유한 의혹을 두고 미래에셋증권(006800)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라임 펀드 환매 중단 전 일부 유력 인사들에게 특혜를 줬는지, 줬다면 왜 그랬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 금융투자검사국은 이달 16일부터 미래에셋증권에 대해 증권사 간 이른바 ‘채권 돌려막기’ 관행을 검사하다 최근 라임 펀드 환매 특혜 의혹도 함께 조사하기 시작했다. 이번 검사에는 기존 인력에 자산운용검사국 사람들까지 추가로 투입했다. 금감원은 조사 과정에서 미래에셋증권이 왜 일부 가입자에게만 환매를 먼저 권유했는지 그 이유를 알아보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 24일 라임운용이 대규모 환매 중단 직전인 2019년 8~9월 국회의원에게 2억 원을 미리 환매해준 사실을 추가 검사 결과 확인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라임운용은 환매 자금이 부족하자 다른 펀드 자금 125억 원과 운용사 고유 자금 4억 5000만 원까지 끌어 쓰며 해당 의원 등에게 특혜를 줬다. 라임운용은 국회의원뿐 아니라 농협중앙회, A 상장사에도 비슷한 시기에 각각 200억 원, 50억 원을 미리 돌려줬다.

서울경제



업계와 정계 일각에서는 금감원이 지목한 다선 국회의원이 김상희 민주당 의원이라는 추정이 제기됐다. 라임펀드의 환매 중단을 한 달가량 앞두고 미래에셋증권이 김 의원이 가입한 라임마티니 4호 펀드 가입자 16명에게 환매를 권유했다는 의혹이었다. 상당수 라임 펀드 사태 피해자들이 원금을 모두 잃은 가운데 김 의원은 18%의 손실만 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즉각 입장문을 내고 “미래에셋증권에 자산을 맡겨 수천만 원의 손해만 봤을 뿐 특혜 환매를 한 바 없다”며 “금감원과 이를 기반으로 허위 보도를 한 언론사에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다음 날인 25일 이복현 금감원장을 국회로 불러 항의한 뒤 직접 서울 여의도 금감원을 찾아 “악의적인 정치 공작”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금융증권범죄 합동수사부(단성한 부장검사)는 금감원 발표 직후인 24일 압수수색 형식으로 라임 펀드 환매와 관련한 당국의 검사 기록 등을 확보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에 27일 입장문을 내고 “미래에셋증권은 조사협조나 자료요청이 있을 시 적극 협력할 것”이라며 “현재 제기되는 특혜 의혹은 판매사인 미래에셋증권이 아닌 운용사인 라임운용의 영역”이라고 주장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김 의원이 가입한 펀드는 유동 자산 비중이 높았기에 환매를 권유한 것”이라며 “다른 라임 펀드는 유동 자산 비중이 적어 곧바로 환매할 수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경환 기자 ykh22@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